인기 드라마 추노의 찰영지였던 선비촌, 선비촌은 우리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드높이고 선비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조성하게 된 민속촌같은 곳이다.
바로 옆에는 선비문화수련원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선비생활의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참여형 이벤트도 개설하고 있다.
이 선비촌과 소수서원, 소수박물관을 엮어서 입장료 3,000 원을 받으니 용인의
민속촌에 비하면 엄청 싼 편이다. 게다가 주차비도 받질 않는다.

들어가는 입구에는 추노의 여러장면을 담은 화보가 붙어 있다. 나도 재미있게
본 드라마라 장면 하나하나가 눈에 익어서 반가웠다.

길게 문인석이 우릴 반기는듯 줄지어 서 있다.

김상진 가 라고 쓰인 집안으로 들어 가 보았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학문을 힘쓰며 일상의 생활윤리를 실천하는 수신제가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이곳에서는 다도체험을 할수 있다고 써붙여 놓았는데 저물무렵이라
그런지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



김뢰진 가 라고 쓰인 집도 들어가 보았다.
이곳의 여러집들은 근처에서 살았던 옛 선비들의 집들을 재현해 놓은것이다.
어디선가 장죽을 물고 수염기른 옛 선비가 나타날것만 같은 분위기다.

담장이넝쿨이 곱게 물든 골목길도 지나고

기와담장과 초가담장이 나란히 하고 있는 골목길도 지나며
한시간 남짓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옛 선비들의 모습을 느껴보았다.


가난을 부끄러워 하지 않고 청빈한 삶을 살았던 선비들의 모습을 엿볼수
있는 이런 초가집도 있다.

이 집은 까치구멍집이라고 쓰여 있었는데 열려진 문위로 까치구멍 같은
환기창이 보인다.




선비촌 지붕위로 해가 넘어 가고 있다.


선비촌을 들어가기 조금전에 만난 순흥 읍내리 벽화고분이다.
사적 313호로 지정된 이 고분은539년경에 축조된것으로 고구려에 인접한 신라의
변방이라는 지리적 위치때문에 고구려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고분내의 벽화다.




1985년에 발굴된 이 고분의 내면에는 석회가 두껍게 발라져 있고 봉황도 그려져 있으며
구름, 꽃, 새, 연꽃이 아름답게 채색되어 있다.
이 벽화는 삼국시대의 회화와 종교관, 내세관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삼국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데 단초가 되는 의미깊은 유물이라고 한다.


그런데 지키는 사람도 없고, 들 가운데 방치된듯이 고분문이 열린채로 있다.
혹시 어느 염치없는 사람이 들어가 낙서라도 할까봐 괜히 마음이 조마조마 해 진다.
이 고분벽화는 있는줄도 몰랐는데 뜻밖의 보너스다.
그래서 시골길을 갈때는 천천히 가면서 이정표를 잘 살펴 보고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영주, 소백산 산자락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발길 닿는 곳 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 경치와 선현의 얼이 깃든 문화유산과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곳이다.
이 곳에서 하룻밤을 묵을려고 부석사 바로 밑 민박집을 찾았드니 어두컴컴한
산골동네에 우리끼리만 자라고 해서 무서워서 도로 나와 버리고 말았다.
월요일이라 다른 손님도 없는데 주인조차 자기집으로 간다고 해서 ...
할수없이 풍기읍내로 나와 호텔에서 자고 새벽에 부석사를 들리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