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왜목마을의 해돋이

by 데레사^^ 2015. 9. 17.

 

 

왜목마을의 해돋이    2010/08/24 04:15

 

http://blog.chosun.com/ohokja1940/4920690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해돋이와  해넘이, 달뜨는 모습까지  한 장소에서 볼수 있는  당진군 왜목마을은

     왜가리의 목처럼  불쑥  튀어나왔다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지난번  전주에서  올라오면서   해뜨는  모습을  꼭  한번   볼려고   밤늦게 운전해서

     이곳에  도착했는데   밤 12시가  가까운  시간이라  숙소를  못 잡으면  어쩔까하고

     걱정했던것  과는  달리   쉽게  여관엘  들수가  있어서  좋았다.   토요일 밤인데도

     빈 방이  있었고  방값도  비싸지  않아서  100,000 원에  방 둘을  빌렸다.

 

     해가 몇시쯤  뜨느냐고  물었드니  5시40분경에  뜬다는  대답이었다.   휴대폰으로

     알람을  맞춰놓고  우리는  바로 잠들어 버렸다.

 

 

 

 

 

 

 

     알람은  정확하게도  5시에  울려 주었다.

     대강 눈 비비고  바닷가로  달려  나왔드니   하늘은  어느새  붉게   물들고  있었다.

 

 

 

 

    5시 10분 쯤이다.

    과연  오늘은  해를  볼수  있을까?

    저렇게  하늘이 붉다가도  해가  구름속으로  들어가 버리기도  하는데.....

   

 

 

 

     이 곳을  두번이나  다녀갔지만  해뜨는  모습을  보지를  못했다.

     공교롭게도  흐리거나  비가 내려서   해뜨는 모습도,   해지는  모습도  못보고   돌아

     갔었다. 

     1년에  해돋이와  달뜨는 모습을  볼수 있는날이  최소 180일이나  된다고  하는데

     내가  찾아 왔을때 마다  날씨가  안 좋았으니.....

 

 

 

     하늘을  쳐다 본다.

     글쎄...   해돋이를  볼수 있을것  같기도  하고   못볼것  같기도  하고,

     약간  수상쩍다.

 

 

 

 

 

 

 

 

    이때가  5시 30분쯤이다.

 

 

 

    시간은  자꾸  흐르고   해돋이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애타는  심정으로  목을  길게

    빼고   초조해  한다.

 

 

 

 

    5시 45분.   우와!   드디어  햇님이 모습을  보인다.   여기저기서   탄성이

    흘러  나오고   카메라 셧터  누르는  소리들이   바쁘다.

 

 

 

 

 

 

 

 

 

     사람이 살면서  해돋이를  과연  몇번이나  볼수 있을까?   누구나  그리  많이  보지는

     못할것  같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일생동안  손꼽을 정도밖에  안되지

     않을까?

 

 

 

 

    바다에서  뜨는  해는  꼭  달걀노른자처럼   말랑말랑 해  보인다.   빨갛고  말랑말랑한

    해,  정말  찬란하다.

 

 

 

 

    지구의 공전에 따라  태양이  경기도 화성 앞바다의  국화도와  장고항  사이로  이동해

    가면서  뜨고  지기 때문에  이곳의  해돋이와  달뜨는  위치가  계절별로  달라진다고

    한다.

 

 

 

 

    태양이 국화도 위로 뜨는  7월과   국화도와 장고항 틈새로  떠오르는 1월에   사람이  제일

    많이  온다고  한다.   우리가  달력같은데서  보는  모습은  1월의  해돋이 모습이다.

 

 

 

 

    6시쯤이다.  어느새  해는  둥실  하늘 위로  떠 올랐다.

 

 

 

 

 

 

 

 

 

 

 

 

 

 

 

 

 

 

 

 

 

 

 

 

    이날  방 둘로  나누어서 잤는데  다른 방에서  잔  둘은   이 찬란한  해돋이를

    못 보고 말았다.

    5시40분에  못 일어나면  어쩔까  걱정하는  내게   자기가 깨워줄테니  걱정말라고

    큰소리를  쳐놓고는   5시에  우리가  일어나서  그 방을  노크해 봐도  묵묵이었다.

    여관이라   계속  두드리면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될까봐   그냥  바닷가로  나와서

    쉴새없이  전화를  걸어도  한사람은  전화를  꺼놓고    한사람은  신호는  가는데

    받질  않는다.

    여기까지  밤새  달려와서  세상에  이런 일이........

   

 

 

    여관방으로  돌아 오니  6시 30분,   이 때  따르르릉  하고  전화가  울린다.

    받았드니   다른 방에서 잔  친구들이다.   "너거  해뜨는것  보러 안가나?"   한다.

    이미  해는  중천인데....

 

    이러고  저러고   오늘 아침 일을  이야기 하면서  그저  웃느라  정신들이  없다.

    분명이  해가 5시 40분에  뜬다고  들어놓고는  알람을 6시에  맞춰놓았다고 하니   정신이

    어떻게 된걸까?   전화는  왜 안받았느냐니까   자는데 시끄럽게 군다고  투덜거리기만

    했다는  대답이다.

    정말로  세상에   이런 일이......

 

    아침이나  먹자고  다시  바닷가로  나왔다.

 

 

 

     매운탕을  시켰다.   반찬도  정갈하고   매운탕도  간이 딱  맞다.

 

 

 

       30,000 원 짜리다.   공기밥값은  물론  따로  내었지만   비싼편은   아니다.

 

 

 

 

 

   서해에서  해돋이와  해넘이와  달뜨는 모습까지도  볼수 있는  왜목마을로  오기 위하여

   채석강에서  해넘이도   안보고   열심히  달려 왔는데  친구둘은   알람을  잘못 맞춰서

   구경도  못하고....

   나이탓만  하면서  아쉬워 해본다.   5시 40분에  해가 뜬다면  5시에  맞춰놓아야 할

   알람을  왜 6시에 맞춰놓았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우습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하고.....그저  웃어 버릴수밖에  없다.

   그래  실컷 웃기나  하자.  하하하하  까르르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