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영주의 가을 (3) 선비촌을 보고 고분벽화도 보고

by 데레사^^ 2015. 9. 17.

 

 

영주의 가을 (3) 선비촌을 보고 고분벽화도 보고...    2010/10/27 05:27

 

http://blog.chosun.com/ohokja1940/5058177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인기 드라마  추노의  찰영지였던  선비촌,   선비촌은  우리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드높이고  선비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조성하게 된  민속촌같은  곳이다.

   바로 옆에는  선비문화수련원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선비생활의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참여형  이벤트도  개설하고  있다.

  

   이 선비촌과  소수서원,  소수박물관을  엮어서   입장료 3,000 원을  받으니  용인의

   민속촌에  비하면  엄청  싼 편이다.   게다가  주차비도  받질  않는다.

 

 

 

    들어가는  입구에는  추노의  여러장면을  담은  화보가  붙어  있다.   나도  재미있게

    본  드라마라   장면  하나하나가  눈에  익어서  반가웠다.

 

 

 

 

    길게 문인석이   우릴  반기는듯  줄지어  서 있다.

 

 

 

 

   김상진 가  라고 쓰인  집안으로  들어 가 보았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학문을  힘쓰며  일상의  생활윤리를  실천하는   수신제가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이곳에서는  다도체험을  할수 있다고  써붙여 놓았는데   저물무렵이라

    그런지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

 

   

 

 

 

 

 

 

 

 

 

 

     김뢰진 가  라고  쓰인 집도  들어가  보았다.

     이곳의  여러집들은   근처에서 살았던  옛 선비들의  집들을   재현해  놓은것이다.

     어디선가  장죽을  물고  수염기른  옛 선비가  나타날것만  같은  분위기다.

 

 

 

 

    담장이넝쿨이  곱게 물든  골목길도  지나고

 

 

 

 

    기와담장과  초가담장이  나란히  하고  있는  골목길도  지나며

    한시간  남짓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옛 선비들의  모습을  느껴보았다.

 

 

 

 

 

 

 

 

 

    가난을  부끄러워 하지 않고  청빈한  삶을  살았던  선비들의 모습을  엿볼수

    있는  이런  초가집도  있다.

 

 

 

 

     이 집은 까치구멍집이라고   쓰여 있었는데   열려진  문위로  까치구멍 같은

     환기창이  보인다.

 

 

 

 

 

 

 

 

 

 

 

 

 

 

 

 

 

 

 

    선비촌  지붕위로  해가  넘어 가고  있다.

 

 

 

 

   

 

 

 

     선비촌을  들어가기  조금전에  만난  순흥 읍내리 벽화고분이다.

     사적 313호로  지정된  이 고분은539년경에  축조된것으로  고구려에  인접한  신라의

     변방이라는  지리적 위치때문에 고구려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고분내의  벽화다.  

 

 

 

 

 

 

 

 

 

 

 

 

 

 

 

 

 

 

 

    1985년에  발굴된  이 고분의  내면에는  석회가  두껍게  발라져 있고  봉황도  그려져 있으며

    구름,  꽃,  새,  연꽃이  아름답게  채색되어 있다.

    이 벽화는  삼국시대의  회화와  종교관, 내세관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삼국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데  단초가  되는  의미깊은  유물이라고  한다.

 

 

 

 

 

 

 

 

     그런데  지키는 사람도  없고,  들 가운데  방치된듯이   고분문이  열린채로  있다.

     혹시  어느  염치없는 사람이  들어가  낙서라도 할까봐  괜히  마음이  조마조마 해 진다.

     이 고분벽화는  있는줄도  몰랐는데  뜻밖의 보너스다.

     그래서  시골길을  갈때는  천천히 가면서  이정표를   잘  살펴  보고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영주,  소백산  산자락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발길  닿는 곳 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  경치와    선현의  얼이 깃든  문화유산과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곳이다.

 

        이 곳에서  하룻밤을  묵을려고   부석사  바로 밑  민박집을  찾았드니  어두컴컴한

        산골동네에  우리끼리만  자라고 해서  무서워서   도로  나와 버리고 말았다.

        월요일이라   다른  손님도  없는데  주인조차  자기집으로  간다고  해서 ...

 

        할수없이  풍기읍내로  나와  호텔에서  자고   새벽에  부석사를  들리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