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거제도의 봄 바다

by 데레사^^ 2015. 9. 8.

 

 

거제도의 봄 바다    2010/03/05 07:10

 

http://blog.chosun.com/ohokja1940/4558193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거제도의  봄 바다는  섬으로  가는  배들로   분주하고  활기차다.

  겨우내  갇혀있던  사람들이  거제도 앞  바다에서  배을  타고  이 섬  저 섬으로  봄구경을

  떠나고  있다.

 

  그래서  거제도의  봄바다는  크고 작은  배에서  뿜어내는  물살이  파도처럼

  일렁인다.

 

 

 

    동백꽃을  보러  지심도를  가기 위하여  배를  타고    배 안에서  멀어져  가는

    장승포 항을   바라본다.

 

    장승포하면  떠오르는  사람은  애광원을  경영하시던   김임순  선생님.

    전쟁고아들을   모아  입히고  먹이고  가르치던   고아원   애광원을   눈 대중으로

    찾아볼려고  해도   이곳  역시  많이  변해서  얼른  찾아지질  않는다.

 

 

 

   옛날에는  장승포 어디에서든   산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하얀집  애광원이

   보였는데...  아쉽다.

   허지만   애광원도   김임순 선생님도  그대로  계시겠지,   아니  어쩌면  돌아가셨을런지도

   모르지....

 

 

 

   전쟁으로  결혼  1년만에  남편을  잃고  이 곳에서  고아들을  돌보시던  김임순

   선생님은  그 공로로  막사이사이 상도  받으시고   유관순상도  받으셨는데   살아계시다면

   한번쯤  뵙고  싶은 분이다.

 

 

 

   거제도의  봄바다는  이렇게  곱고  조용하다.

 

 

 

    지심도의  절벽 해안

 

 

 

 

 

 

 

 

 

 

 

    이렇게  맑고  고운  바다를  간직한  거제도에   한국전쟁때의  포포수용소가

    있고  그리고   해군 LST 가  실어나른   북한 피난민들의  집단  거주지도   있다.

    포로 수용소는  아직  그대로  남아서  관광지로서  한몫을  하지만   북한 피난민들이

    많이  살았던  연초는  어떤  모습으로 변했는지  모르겠다.

 

 

 

 

   거제도에  연육교가  놓이기 전  부산에서는  배를  타고   거제도를  올수  있었다.

   젊은 나는   거제도가  좋아서   자주  찾아 왔었다.

   멸치어장을  하던   친구집에서  묵으면서  걸어서  거제도  천지를  안 가본데  없이

   다  돌아 다녔다.

 

 

 

 

   그리고  연육교가  놓이고   옥포에 조선소가  들어 오고....

   나는  자동차로  거제일주 하기를  좋아했다.

 

 

 

 

 

 

 

 

 

 

 

   봄을  찾아  섬으로  떠난  배들이  한척  두척  돌아오기  시작한다.

 

 

 

 

 

 

 

 

    밑의 사진과  함께 한자리에서  찍은것인데   밝을때는  빨간색과  흰색  등대이드니

    어두워지기  시작하자   흰등대가  푸른색으로   바뀐다.

 

 

 

 

 

   그리고  약간씩  물결도  일기 시작한다.

 

 

 

    차창으로  바라 본  거제도  바다의  양식장 모습이다.

 

 

 

   부둣가에는   건어물 파는 가게와  음식점들이  가득하다.

 

 

 

    그 자리에서  말려서  파는  생선을  살려고  흥정을  한다.

    싱싱하고  맛있어  보인다.    말린 생선은   물에  약간만  담궜다가   채반에  쪄서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  절말  맜있는데.....

 

 

 

 

 

 

 

 

 

 

 

 

 

 

    배 안에서  바라 본  풍경이다.

 

 

 

    오른쪽  어둡게  보이는곳에  설치되고  있는것은   원유저장고의   기름을  옮기기

    위한  하역장을  건설하는  모습이라고  한다.

    이 곳에  원유저장고를   다시 짓는다고  한다.  기존의  원유저장고가 망가져서.

 

 

 

    산비탈  밭에는   갓도  자라고  있고

 

 

 

    마늘대궁도  많이  올라오고  있다.

 

 

 

    서울과는   딴판으로  남쪽에서는   밭이  온통  파란색이다.

 

   오래전에,  아주  오래전에   거제도에서  부산으로  오는  배 안에서  진주농대생들과

   합류한 적이  있었다.   우리도  그들도  농촌 일손돕기를  다녀 오던 길.

   그때  배에서  알게 된  진주농대생중  한명의  집이  부산대학  근처 였다.

  

   친구둘과  함께  그 집에  초대를  받아 가서   먹성도  좋은  우리 셋은   밥한그릇씩을

   먹고  나서도  삶은 감자  한소쿠리,  삶은  옥수수  한소쿠리,  수박  한덩이.....

   주는대로  다  먹고   돌아 왔는데

   그 다음날  걸려온  그  남학생의  전화는  "우리 엄마가  그 셋중에는  며느리감  없으니

   놀지말라고  한다"   였다.

 

   지금도  그때의  그 친구들을  만나서  우리는  깔깔대며  웃는다.

   조금만  적게  먹었으면  셋중  하나는  그집  며느리로  뽑히는  영광을  누렸을거고.

   그리고  그 많은  논밭이  다  집짓는  땅으로  변했으니   평생  부자로  살았을것  아닐까

   하는  얘기도  하면서.....

 

   거제도의  봄바다를  보면서  공연히  이 생각  저 생각에   빠져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