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여기에도 일제의 흔적이... 지심도에서

by 데레사^^ 2015. 9. 7.

 

여기에도 일제의 흔적이..... 지심도에서    2010/03/01 10:35

 

http://blog.chosun.com/ohokja1940/4547998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오늘은  3,1 절

  남쪽 끄트머리  거제 장승포항에서  배를  타고  한 20분쯤  걸리는  위치에  있는

  아주 작은 섬   지심도에도  일제가  스쳐간  아픈  흔적들이  여기저기  널려 있다.

 

  동백꽃을  보러  왔는데  동백의  아름다움 보다   일제가  저질러놓고  간   곱지않은

  흔적들이  마음을  아프게  한다.

 

 

 

 

   물빛도  곱고  동백도  저리 고운  이 섬에  일본군들이  상륙해서  진을  치고  있었다고

   생각하니  소름이 돋는듯한 기분이다.

 

 

 

 

 

 

 

   섬 올라가는  입구에  성모마리아 상이  있다.  지심도앞  바다를  내려다 보며

   평화스러운  장소에  있는  성모 마리아상이다.

 

 

 

   동백이  이렇게  고운  이 섬에....

 

 

 

 

 

 

 

   일본군이  주둔했을때의  소장 사택.

 

 

 

    이 집도  동백나무에  묻혀  있다.   여기서  무슨 짓을 했을까?

 

 

 

    바다를  비추는  일본군의 서치라이트.  왼쪽이  진품이다.

 

 

 

   이것은  일본의  욱일기 게양대이다.

 

 

 

 

 

 

 

 

 

 

 

 

 

 

 

 

 

 

 

 

 

 

 

 

 

 

 

 

   포대가  설치되었던  흔적이다.

 

 

 

 

 

 

 

 

 

 

 

    지심도의 아픈 역사를  보여주는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는 곳이다.  이곳은  탄약고

    자리 였다.

 

 

 

 

 

 

 

 

 

 

 

   마치 원시림 같은  숲길이  계속  이어진다.

 

 

 

 

 

 

 

 

 

 

 

 

 

 

   지심도 주민이면서  문화해설사.   옆의 사진은  다슬기 이다.   다슬기가  자라면

   반딧불이가  잡아먹어 버린다는   지심도 자연환경  설명과  더불어   일제의  만행도

   거침없이  얘기해준다.

 

 

 

   죽어서  넘어져  있는  나무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살아서  잎이 나고  있다.

 

 

 

 

 

      외도가  인공으로 가꾸어진  아름다운 섬이라면  지심도는   자연이  그대로

      보존된 곳이다.

      이 섬은  동백으로  뒤덮혀 있다.   해설사는  말했다.  동백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동백나무는  땔감이  안되기  때문에  여기에  주둔했던  일본군이   다른  나무는

      땔감으로  다 베어버렸기   동백만  남은것이라고.

 

      동백꽃  보러 갔다가   이 섬이  간직한  아픔도  알게 되었다.

      오늘은  3,1 절  기념일이라  꽃보다   이 사연을  먼저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