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서장

손자가 여친을 데리고 오다

by 데레사^^ 2025. 1. 12.

            잘하면  생전에  손자며느리도 보고  증손까지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내게는  큰 딸에게서  손녀 1,   둘째 딸에게서  손자 3 이  있는데  둘째 딸의

            둘째  아들이  여자 친구를  데리고  인사하러  왔다.

 

             이 손자 필립은  지금  미국  뉴욕에서  회사를  다니고  있다.

             이 나라  저 나라  옮겨 다니는  직업을 가진  아버지를  따라  초등학교는

             크로아티아,   중학교는  중국,  고등학교는  싱가포르,  대학은  미국에서

             마치고  지금  뉴욕  월가에서  일하고  있다.  미국에  살 때  태어나서 

             미국 시민권자이다.

             1999년생이니  이제  스물여섯 살,   여자친구도  동갑인데  같은  뉴욕에서

             학교 무용선생이라고 한다.   한국사람이고  집이  분당이라  겨울 휴가를

             이용해서  인사차  온 것이다.

 

            둘 다  한국음식이 그리울 것  같아서  한정식 집으로 데리고 갔다.

            이모인  큰 딸과  삼촌인 아들도  함께  했다.

            우리끼리면  적당한  음식점을  가면 되는데  여자친구를  데리고  온다고  하니

            솔직히  음식점  선택이  신경이  쓰였다.  검색에  검색을  거듭해서  찾아낸

            심마니란  한정식집으로 갔다.

 

            여자친구가  상냥하고  귀엽게 생겼다.

            아주  잘 자란 표가  난다.   김치도  자기가  자르고  국과  찌개를  떠 주면서

            그저 생글 생글이다.   

 

           기본에  갈비찜을  추가했다.

           잘  먹어줘서  기분이  좋다.

 

           밥은  곤드레 돌솥밥으로 했다.  미국에서는  먹어 볼 수가  없다고.

 

          양념장  넣고  비벼서  둘 다  잘  먹으니  기분이 좋다.

 

          닭고기에  녹두와  팥이 들었는데  음식이름은  모르겠다.

 

          손자는  한국에  3일  체류하다  오늘  돌아갔다.

          태국에  가서  부모님  만나고  좀  있다  와서  한국에서는  오래 있을 수가  없다고 한다.

          하루는  둘이서 데이트,  하루는  여자친구집  인사,  그리고  하루는  우리 집으로 온 거다.

          여자친구 집에서도  엄청  좋아했다고  한다.

          손자가  태국에서  오느라  외투 속에  반팔 티셔츠를  입고  왔는데  춥다고  여자친구의

          어머니가   백화점으로 데리고 가서  세타도  사 주었다고  입고  왔다.

          완전 사위취급받은 것  같다.

          손자가 키도  180이  넘고  얼굴도  준수하고  좋은 학벌에  좋은  직업을  가졌으니

          여자친구의  부모님도  엄청  좋아하는  모양이다.   

 

          우리 집에  있으라고  침구도  손  봐 놓았는데  사흘밖에  안  있으니  어자친구집  근처

          호텔에  있겠다고 해서  그러라고  했다.

          식당에서  바로 헤어졌다.   둘의  시간을  가지기에도  부족한데  우리가  붙들고

          있으면  안 되니까.

 

          삼촌이  슬쩍  봉투하나를  호주머니에  넣어준다.   데이트 비용으로  쓰라고.

          본인은  쉰이  넘도록  장가를  안 가면서  조카가  여자친구  데리고  오니까  너무  좋은지
          연신  싱글거린다.

 

          오래 살고 볼 일이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보기가 겁난다  (70) 2025.01.25
설 대목 수산시장에서  (102) 2025.01.18
진주사람 정행길 (리뷰)  (84) 2025.01.02
또 한 해를 보내며  (92) 2024.12.31
코로나 2관왕  (0)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