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나라 여행205

공주박물관, 벡재의 향기를 찾아 (7) 국립 공주박물관은 웅진 백제문화를 보존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뜻을 보아 공주고적보존회와 공주사적현창회를 모태로 출발, 1940 년 공주시 중동에 공주박물관이 개관하였고, 1945년 국립박물관이 되었다고 하며 2004년 웅진동으로 신축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71년 공주시 송산리 .. 2015. 11. 8.
무령왕릉, 백제의 향기를 찾아 (6) 공주의 금성동과 웅진동에 연접한 송산의 남쪽 경사면에 자리하고 있는 웅진시대 백제의 왕과 왕족들의 무덤이 있는 곳, 원래는 17기의 무덤이 있었지만, 현재는 무령왕릉을 포함하여 7기만 복원되어 있다는, 송산리 고분군을 찾아가는 것으로 공주의 첫 여행을 시작했다. 1971, 7, 5 제6호 .. 2015. 11. 7.
백제문화단지, 백제의 향기를 찾아 (5)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했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1994년 부터 2010년 까지 총 17년간의 역사적인 대장정 끝에 충남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일원 3,276 평방미터에 총 6,904억원을 투자하여 백제 왕궁인 사비궁과 대표적 사찰인 능사, 계층별 주거문화를 보여주는 생활문화마.. 2015. 11. 5.
궁남지, 백제의 향기를 찾아 (4) 궁남지(宮南池) 는 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일대에 위치한 사비시대의 궁궐연못이다. 인공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고 부르며 1964년 대한민국 사적 135로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연못이며 선화공주와 서동(훗날 무왕) 의 사랑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곳으.. 2015. 11. 4.
능산리 고분과 정림사지, 백제의 향기를 찾아 (3) 능산리 고분군은 사비시대 (538-660) 백제왕릉묘역이다.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도 각각 고분이 분포하고 있어 크게 3개의 무덤군으로 나뉘어 있다. 이 가운데 중앙구역에 위치한 무덤들이 그 크기나 위치로 보아 사비시대 역대 왕들의 왕릉이었을 ' 것으로 추측.. 2015. 11. 3.
백마강, 백제의 향기를 찾아 (2) 백마강 달밤에 물새가 울어 잃어버린 옛날이 애달프구나 저어라 사공아 일엽편주 두둥실 낙화암 그늘아래 울어나 보자 고란사 종소리 사무치며는 구곡간장 올올이 찢어지는데 누구라 알리요 백마강 탄식을 깨어진 달빛만 옛날 같으리 꿈꾸는 백마강 노래를 흥얼거리며 고란사 앞에서 .. 2015.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