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외암민속마을에도 가을이한창

by 데레사^^ 2015. 9. 20.

 

 

외암민속마을에도 가을이 한창....    2010/11/01 09:53

 

http://blog.chosun.com/ohokja1940/5067707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살아있는  민속박물관   외암민속마을에  가을이  한창이다.

    우리집  평촌에서  39번  국도로  쭈욱 가면  되기 때문에  네비없이도  길찾기도  쉽고

    그리고  2시간이  채  안걸리기 때문에  시간도  딱  좋아서  이따금씩  찾아가는  편이다.

 

    아산군  송악면에  있는  외암민속마을은   원래는  여러 성씨가  살았으나  조선

    명종 (1545-1567) 때  예안이씨  이시종이,   딸 셋만 둔   진한평의  첫째사위가  되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이씨를  중심으로 한  마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경종 3년 (1723년) 에  이간 선생이 쓴  외암기에   마을이름을  외암으로  기록한 사실은

    있으나  정확히  언제부터   부르게  되었는지는  잘  모른다고 한다.

 

    이  마을에는  충청지방  고유 격식을  갖춘  반가의  고택과  초가,  돌담,  정원이

    옛모습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나   개인의 사유공간이라  개방하고  있는  집이

    한군데도  없어서  마을 입구의 홍보관에서   모형으로만  구경할수  있는게   좀  아쉽다.

    몇년전에는  몇집은  들어 가 볼수  있었는데...

 

 

 

    마을 입구에  코스모스가  한창이다.  여기서  우리는  저마다의  폼으로  사진들을

    찍느라  한참을   머물렀다.

 

 

 

 

     초가의 돌담위로  호박꽃이  피어 있는  모습이   정겹다.

 

 

 

 

 

 

 

 

 

     산수유도  빨갛게  익었고

 

 

 

 

     어느 집에서는  은행을   줏어서   대문밖에다  모으고  있었다.

     냄새가  나니까  집밖에서  저렇게  한꺼번에  깔려고  그러는듯.....

 

 

 

 

     마을을  흐르는  개울가에도  코스모스가   피어있다.

     바람과  물 까지  생각하면서  삶의 터를  정한   옛 사람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개울은  이 마을의 주봉인  설화산 밑으로  해서  마을을  휘감고  흐르고  있다.

 

 

 

 

    오랜만에  정말  오랜만에  지붕의 이엉을  올리는  모습을  본다.

    고향  우리마을에서는   가을걷이가  끝나고  지붕의  이엉을  올리면   겨울준비가  다

    끝났다고   축하하는  의미에서  집집마다  떡을  해서는  돌리고  했었지....

    그래서  이맘때쯤  아이들  손에서는  떡이  늘  들려  있었지...

 

 

 

 

    고염이 열렸네!!    감과 비슷한  맛이지만  감보다  아주  작고  감보다  훨씬  더 달아서

    이 열매를  따서  항아리에  넣어두고  조청 비슷이 된걸  숟가락으로 떠 먹던 기억이

    난다.

 

 

 

 

     연자방아와  물레방아

 

 

 

 

    이마을에서  제일  큰 집인  건재고택  담장안으로  연리지처럼  보이는  나무가  있다.

    그런데  문화해설사의 말로는  연리지는  아닌데  저렇게  다른 나무끼리  엉켜있다고

    한다.

 

 

 

 

    까치밥으로  남겨 두었을까?   딱  한개 남은  감

 

 

 

 

 

 

 

 

 

 

 

 

 

 

 

 

 

 

 

     이 돌담있는 터가  이 마을에서  제일  명당자리라고  한다.   그런데  빈터다.

     민속자료로  지정된  마을이라  함부로  짓거나  고치거나  하지를  못해서  그런가 보다.

 

 

 

 

 

 

 

 

 

 

 

 

 

 

    건재고택 담장은  기와도  있고  돌도  있고  엄청  넓다.

    까치발을  하고  담장너머로  정원을   한번  엿보고....

 

 

 

 

 

 

 

 

 

 

 

 

 

 

     건재고택은   중요민속자료 233호로   충청지방의 대표적인  반가의 모습.

     건재 이욱렬의 호를  따서  택호가  건재고택으로  붙었으며   행안부 지정 "정원100선" 에

     든   집이라고  한다.

 

 

 

 

    건재고택을  감싸고  있는  돌담 길

 

 

 

 

    이 집은 이간 선생이 (1677-1727) 이  후학에게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라고 한다.

 

 

 

 

    참판댁,   이 마을은  교수댁,  송화댁,  참판댁, 건재고택등의  택호가  붙여져 있는데

    이 집은  이조참판을  지낸  이정열(1865-1950) 이  살던 집이라고  하며   이 정렬의

    할머니가  명성황후의  이모였다고  한다.

   

 

 

 

 

     이 집은  민박집

 

 

 

 

 

 

 

 

    500년 되었다는  마을  느티나무

 

 

 

 

 

 

      지금  외암민속마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에  분주하다고

      한다.

      하루빨리  저분들이 바라는 바가  이루어 지기를  바라며  우리는   집안에는  못들어 가

      보았지만  가을볕이   내려 쪼이는  마을  고샅길을  천천히  천천히  돌아 다닌다.

     

      가을햇살이  아주  좋은 날,   마침  평일이라  사람들도  많지  않고   고즈넉한

      마을 길을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걸어 다녔는데  포슽을  만들려고  하니  잊어

      버린게  너무 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