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계곡, 구름, 돌, 나무..... 모든것이 아름답다.
그러나 날씨가 심술을 부린다.
산 아래 십리화랑 계곡에서는 멀쩡하던 날씨가 정상쪽으로 가기 위하여
케이불카를 타니까 또 비가 내린다.
아무리 이곳이 비오는날이 더 많은곳이라지만 4박 5일의 일정인데 하루쯤은
비가 안내려도 좋으련만.... 아쉽다.
천자산의 무릉원, 하룡공원과 원가계 양가계는 신선만이 찾아 볼수 있는 경치라고
하는데 신선도 아닌 우리가 쉽게 찾아와서 하늘이 마음에 안드나 보다,

케이불카도 계단을 올라가야만 타고, 산도 계단, 음식점도 계단.... 어디나
계단이다. 가이드에게 물어보았다. 장가계여행에 계단을 몇개나 걷느냐고?
줄잡아도 2만개는 넘을거라고 한다.

케이불카 창너머로 보이는 산 봉우리들이 심상치 않다.


시 인듯 그림인듯.. 날씨만 좋았다면 더 멀리까지도 보일텐데 아쉽다.

이곳은 어딜가나 강택민의 이름이 보인다.
글씨를 강택민이 썼다는것인지 강택민때 개발했다는것인지 모르지만 어딜가나
자기를 나타내고자 하는게 마음에 안든다.

이 하룡공원은 중국의 10대 장군중 한명인 하룡장군을 기념하기 위해
동상도 세우고 저 정자도 만들었다고 한다.

어딜가나 사람들은 많다.
비가 약간 그치는듯 하다.

수천개의 봉우리가 바다를 이루는 모습이 희미하게나마 보인다.




선녀가 꽃바구니를 들고 꽃을 뿌리는 형상을 닮았다고 "선녀헌화" 라고
부른다는 바위(가운데) , 자세히 보면 예쁜 얼굴이 보인다.


어필봉, 임금이 글을 쓰고 붓을 꽂아 놓았다고.


이 어필봉이 무릉원의 대표적 경관이라고 한다.


일행중 한명이 소수민족의 옷을 빌려 입고 깜짝쇼를 하는 바람에 웃느라고
배꼽을 쥐었다. 1,000 원을 주고 옷을 빌렸다고 한다.


하룡장군은 모택동 시절에 생존했던 인물이라고 한다.
중국역사를 모르니 그가 무슨일을 했던 사람인지는 모르지만 10대 장군중의
한사람이라고 하니 아마 중국국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인듯....




수려함과 기이함, 야성미가 어느곳 보다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곳
장가계에 와서 내내 비를 맞고 다녔는데도 호텔로 돌아 와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고 나면 피로가 거뜬히 풀리는것은 공기가
맑기 때문인것 같다.
우리가 묵은 이곳 개천주점이라는 이름의 호텔에는 욕조가 없다.
지난번 북경에서도 그렇드니 이곳도 욕조가 없고 샤워기만 달랑이다.
그러나 뜨거운 물이 쏟아지니 그것만으로도 대만족이다.
무릉원을 돌아 나오니 비는 점점 세차게 내린다. 빗속에 원가계와 양가계를
가야 한다고 비옷을 나누어 주었지만 나는 받질 않았다. 입는 중에도 찢어
지는데 귀찮기만 해서.
대신 2,000원에 우산 하나를 사서 펴 들었다. 가마꾼이 8,000원에 태워주겠다고
계속 뒤따라 붙었지만 귀를 막고 앞만 보고 걸어간다. 원가계, 양가계를 향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