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가시어멍, 성읍 민속마을

by 데레사^^ 2015. 10. 5.

 

 

가시어멍, 성읍 민속마을    2013/03/08 04:58

 

http://blog.chosun.com/ohokja1940/6874307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제주도의  민속은  육지와는  많이  다르다.

                     사투리에서도  그렇고  생활양식도,   풍습도  달라서  여행객들에게는  언제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실제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성읍 민속마을로  가이드는  우릴 데리고  갔다.

                     이 마을은  제주에  왔을 때  마다  들렸던  곳이기도  하다.

 

 

 

 

                           가시어멍이란  제주도  사투리로   장모를  뜻한다는데  사람이

                           산다는  민속마을에  왜  저 간판이  붙어  있는지는  모르겠다.

 

 

 

 

                            마을에서는  입구에 이렇게 우산까지  준비 해 놓고  있었다.

                            우리도  우산 하나씩을  받아쓰고  마을에서  영접 나온  꽤 상냥

                            하고  제주도 사투리를  재미있게  섞어  사용하는  아주머니를 따라

                            마을을  한바퀴 돌았다.

                           

 

 

 

                         이 분이다.  자기는   이 마을  주민으로서   당번을  정해서  손님안내를

                         한다고  했는데  마지막에는  마을회관이라고 하면서  의자가  놓여있는

                         곳으로  우릴   데리고  가서  말뻐진액와  오미자음료를  사라고 했다.

 

 

 

 

                        실제 사람이 사는  마을이라고 하는데  어디에도  주민의 모습은

                        안보여서  물어 봤드니  낮이라  다  일나갔다고  했다.

 

 

 

 

 

 

 

 

 

                          인분을  먹고  자란다는  제주의  똥돼지  키우는  모습

 

 

 

 

                           아무리 봐도  전시용으로 밖에  안 보이는데....

 

 

 

 

                         안내인의 설명으로는  오른쪽  움푹 파인곳이  용변보는  곳이고

                         돼지는  그 밑에서  받아 먹는다고...

 

 

 

 

 

 

 

 

 

                                물을  저장했던  항아리

 

 

 

 

                          나무를  타고 내리는  빗물을   저  새끼줄로  정화해서 항아리에

                          받아  먹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우리팀  말고도   우산을  쓰고   안내원을  따라  구경하는

                        사람들이  꽤  많았다.  모두가  관광버스를  타고  온  사람들이다.

 

 

 

 

                              왼쪽은  물허벅이고  오른쪽은  아기를  뉘여놓던  바구니

 

 

 

 

 

 

 

                             어딜가나  여인네들이 지고 다녔던  물허벅이  있었다.

 

 

 

 

 

 

 

 

 

 

 

 

 

 

                     제주의  집에는  굴뚝이  없다고  한다.   왜구의  침입이  잦아서  사람사는

                     흔적을  안보이기 위하여  굴뚝을  만들지  않았다고 하며,  연료로는  말똥을

                     말려서  때면  연기가  안나기 때문에 굴뚝없이도  취사,  난방이  가능했다는

                     설명이다.

 

 

 

 

                      정말  어느집을   둘러봐도  굴뚝은   없다.

 

 

 

 

 

 

 

 

 

 

 

 

 

 

 

 

 

 

                         지붕 처마끝에  달린  차양비슷한  작대기가  받쳐져  있는  저것은

                         일종의 덧문으로  비 바람을  막기 위하여   궂은  날은  내리고  맑은날은

                         저렇게  올려져  있다고  한다.

                        

 

 

 

 

 

 

 

 

                    이 안에는  의자가  쭈욱 놓여있었다.

                    우리를  데리고  들어 가드니  차 한잔씩을  대접하면서  제주특산인  말뼈진액과

                    오미자로  만든  음료를  사라고  했다.  값이  꽤  비쌌는데  먹으면  만병통치

                    라는  설명이었지만  이미  제주를  여러번  다녀 본  우리 일행은  아무도 사지

                    않고    한봉지에 1만원씩  하는  말린 고사리만   샀다.

 

 

 

 

                        이 막대기는  제주 집의 대문역할을  하는  정낭.

                        구멍 뚫린  돌판에  막대기  세걔를  꽂아 놓았는데

                        세개가   다  올려져  있으면  멀리가서  오늘  못  돌아온다는 뜻이고

                        두개가   올려져  있으면  오늘중으로  돌아 온다는 뜻

                        한개가   올려져  있으면  집근처에  나갔으니  금방 돌아온다는  뜻이다.

                        그리고  다 내려져  있으면  집에  사람이  있다는  뜻이고.

 

                        이 정낭은  주인의  유무 표시도  되지만  동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도

                        했다고  한다.

 

                    성읍민속마을의  가시어멍구역,   이상하게도  내 눈에는   사람이  사는 마을은

                    다른곳에  있고  이곳은  관광객들에게  보여주고   물건을  팔기  위해서 따로

                    만들어진  느낌을  주는  그런 곳  같이  보였다.

                    왜  그렇게  느껴지고  보여졌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