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도종환시인과 함께 옥천장엘 가다

by 데레사^^ 2015. 9. 27.

도종환 시인과 함께 문학기차 타고 옥천장에 가다    2011/12/01 08:11

 

http://blog.chosun.com/ohokja1940/603843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새벽에 일어나니  비가  너무 많이 내린다.   오늘같은  날은  일기예보가  맞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이럴때는  또  일기예보가  너무  잘  맞으니까  비가  내려도  어쩔 수 없이

                   예약 해 놓은 일이니  가긴  가야하는데 나서는게  좀  망설여 진다.

                   서울역  9시 23분  출발  기차라  집에서  7시가  조금 넘어서  우산을  쓰고  옷을

                   든든히 입고  모자까지  쓰고  나섰다.

 

                   옥천장은  5일과  10일에  장이 선다.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제  옥천장터를  중심으로  해서  행사가  열렸다.

                   이곳  출신인  시인  정지용의  일대기를  보여주는  연극도  하고  시내 퍼레이드도

                   하고   내려가는  기차에서는  도종환 시인과  울산대 허영란 교수를  초빙하여 정지용의

                   시 세계와   5일장에 대한  강의도  하고....

 

 

 

                     일어공부를  함께 하는 분들   다섯명이  함께 갔다.

                     서울역에  도착하니  무궁화홈  대기실에는  벌써  준비요원들이  나와서  현수막

                     까지  들고  우릴  기다리고  있었다.

 

 

 

                         비가 오는데도  예약인원이  거의   다  나오신듯...

 

 

 

 

                     기차를  타고   도종환  시인은    정지용의  시에  관해서,   허영란 교수는 5일장에

                     관해서  열심히  강의를  하셨다.   허영란 교수는  5일장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하며  길과  장에  얽힌  이야기를  재미있게  해 주었다.

              

                     

 

 

                       길거리 퍼레이드와  연극을  해 줄  사람들도  함께  기차를  타고  간다.

 

 

 

 

                    옥천역에  내리니  환영행사가  기다리고  있었다.

                    강의를  한  두분에게는  꽃다발이  안겨 졌고..

 

 

 

 

                      옥천군수께서  환영의  인사도  있었고

 

 

 

 

                    역  광장에서는  비가  내리는데도   여고생들이  환영나팔을  불면서 연주를 해주었다.

                    온양의  한올고등학교  마칭밴드단

 

 

 

 

                       행사장 가는 사람들,  목에는  이름표를  걸고  우산을  받고  비 내리는 길을

                       걸어  옥천시장 까지  갔다.

 

 

 

 

                    원래 시골장은  대부분  길거리에서  난장을  벌리는데,   그리고  그 모습이

                    소박하고  재미있고  또  색다른걸  살 수도  있는데  비가  많이  내리니까 노점은

                    겨우  몇 곳만  나와 있다.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국수그릇들이다.

 

 

 

 

                      기차안에서  아침으로  맛있는 도시락을  주었는데  여기 오니  점심시간이  이른데도

                      또  국수와  밥과  막걸리를  대접한다.

                      기차에서  먹은  밥이  배도  꺼지지 않았는데    우리는  밥 배 따로  있고  국수 배

                      따로  있다고  하면서  웃으며  자리에  앉았다.

 

 

 

                        국수도 맛있고  밥도  맛있고  우거지국도  맛있는데  먹어보니  정말  음식마다

                        배가  따로  있는지....  다  먹었다.

 

 

 

 

                       주최측에서 준  상품권 1만원으로  서리태 콩을  사고

 

 

 

 

                       가두  퍼레이드를  벌리고  있다.    아,  비가  내리지  않았으면  얼마나  좋을까?

 

 

 

 

 

 

 

 

 

 

 

 

 

 

 

 

 

 

 

 

                                엿장수 아저씨의  짚신이  다 젖어 버렸네....

 

 

 

 

                          아이고  예뻐라!    이 행사의  꼬마 주인공,   12살에 결혼을  한  정지용 시인의

                          신부역을  할  아이다.

 

 

 

 

                              신랑  정지용과   신부  송재숙의  결혼식을  재현할  두 아이들,

                              완전  귀엽다.

 

 

 

 

                      행사는  이렇게  계획되어  있었는데  비가  많이  내려서   시장 2층에서 연극공연을

                      하다 보니   약간  어수선하고  실내도  어둡고  불편했다.

 

 

 

 

                             아까  그 아이들이 연극에서  혼사를  치루고  수모와  함께  사진을 찍는다.

 

 

 

 

                            연극은  정지용의 시와  그가 살았던  시대,  그리고  그의 인생등을  내용

                            으로  하고  있다.   이는  3,1 운동 무렵을  표현한 것이다.

 

 

 

 

 

 

 

 

 

                             윤심덕으로  분장한  사람이   사의찬미를  부르고  있다.

                             오늘  이 연극의 대본을  조블의 이웃이신  손풍금님이  쓰셨다고  한다.

 

 

 

                    이 사진은  너무 엉망이라  안 올릴려고  했는데   이분들을  꼭  소개해야 할것

                    같아서...

                    이 분들은  시장 상인들로  구성된  합창단원이다.

                    그런데  이름난 합창단이  울고 갈  정도로  노래도  잘하고  화음도  잘 맞았다.

                   " 부디  장사 잘되어서  돈도  많이 버시길  바랍니다."

 

 

 

                      공연이 끝난 후   비가  더 세차졌는데도   군청에서  내어 준  버스를  타고

                      정지용 시인의 생가로  갔다.

                      정지용  생가는     아담한  초가집으로  그 옆에는  정지용 문학관이  있다.

 

 

 

                     이곳에서  정지용 시인은 태어나서  12살  무렵까지  살다가  서울로  갔다고 한다.

                     1902년, 음력 5월 15일에  태어나서  1918년  17세 때  휘문고보에 입학,  재학시절

                     서광  창간호에  첫 발표작품인  소설  "삼인"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

                     1945년  44세때  해방후  이화여대와  서울대에 출강 하였으며  1950년  6,25 당시

                     정치보위부에 의해 납북,   이광수,  계장순등과 함께 수감되었다가  폭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권씩 나누어 준  시집에  간단한  약력이 쓰여있다.

 

                     그리고  1987년 2월  해금발표로   정지용 시와 산문 이 출간되었슴.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절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 하략 -

                     

                     우리가  다 좋아하는  향수라는 시는   노래로도  불리워지고  있으며  고향을

                     그리는  시 중에서  제일  심금을  울리는  시 라고  한다.

 

 

 

                      정지용 문학관이다.

 

 

 

 

                           문학관 입구에는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벤치에  정지용시인이

                           앉아 있다.   나도  그옆에서  인증샷  한컷 찍었다.

 

 

 

 

 

 

 

 

                            정지용 시인의  시와  함께  정지용문학상을  받은  사람들의  시도 있다.

 

 

 

 

                      안내하시는 분은  어둡고  비가 많이 내리지만  옥천에 오셨으니  기어히

                      '멋진 신세계"   공원을  보고  가시라고   우리를  그곳에  데리고  가신다.

 

 

 

 

                         이렇게  비에  젖어가면서도   공공예술로  빚은  아트벨리인   멋진 신세계공원의

                         호숫가를  한바퀴 돌았다.   대청호가  만들어 지면서  옥천군이  가장  많이

                         물에 잠겼다고 한다.  호수가  산속에  파묻혀서  아주  아름답고  둘레길도

                         좋았지만  어둡고  비내리는 날의  내 똑딱이카메라는  영  실력을  내주지 않아서

                         사진도  못 찍고..

 

 

 

 

 

 

                        이 공원에는  벤치마다  등받이에  정지용의 시가  한줄씩  쓰여있고  정지용

                        문학상을  받은  시비들이  각각  다른  재질로   그리고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정지용  시의 제목을 딴  "카페 프란스"란  커피집도

                        보였지만    시도  제대로  못 읽어봤고   카페 프란스에 들어가 보지도 못했다.

                        내년봄에 꼭  다시 오자고  일행들과  다짐을 하면서  아쉽게  멋진 신세계를 떠나

                        옥천역으로   향했다.

 

                        옥천군은 1개읍과 8개면으로  구성된  대전 부근의 소읍으로  금강을 끼고  있어

                        푸른강과  녹음이 아름답고  시인 정지용을 비롯,  고 박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사육신 김문기,  의병장 조헌,  우암 송시열이  태어난 곳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인연으로는  우리 아들이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했던  회사가

                        있는 곳이기도 한데  나는 이 곳을  이번에  처음으로  찾아 왔다.

 

                        내년 봄에 꼭  다시 오리라.

                        옥천장이  활성화되고  옥천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리고  이곳에서

                        장사 하시는 분들이  건강하고  돈 많이 벌었으면  하는  마음을  간직한 채

                        옥천을 떠나  집에 도착하니  밤 열시가  넘어 있었다.

                        즐겁고  의의있는  하루를  보낸  뿌듯함이  밀려 온  날이었다.

'아름다운 우리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아박물관 1, 야외 조각공원  (0) 2015.09.29
명성황후 생가와 감고당을 찾아  (0) 2015.09.29
고성 명태축제  (0) 2015.09.27
금강산 건봉사  (0) 2015.09.27
북녘땅이 보이는 통일전망대에서  (0) 2015.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