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은 북녘땅에서 부터 시작되는, 북녘땅에만 있는줄로 여지껒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 속초여행에서 알게된 새로운 사실은 금강산
1만2천봉이 미시령 오른쪽의 첫 봉우리인 신선봉에서 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이다.
미시령으로 부터 북쪽 산줄기는 금강산, 남쪽 산줄기는 설악산이라고 한다.

금강산 화암사, 절의 현판부터가 웬지 가슴을 설레게 한다.
금강산이라니? 북쪽을 안가고도 금강산을 밟아보다니......

일주문을 들어서자 부터 시작해서 절 입구까지 이런 연꽃무늬가 길에
계속 이어져 있었다.
올라가는 길에 이렇게 신경을 써놓았는데 무슨 의미인지는 잘 모르겠다.

화암사는 신라 혜공왕 (서기 769년)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한다.
화암사(禾巖寺) 라고 이름이 지어진 이유는 민가와 멀어서 공양미를
구하기 어려운 이 절의 수행스님 꿈에 절 건너편 산에 있는 수바위에
있는 조그만 굴에 가서 지팡이를 세번 두드리면 쌀이 나올것이니
걱정말고 수행하라고 해서 시키는대로 했드니 쌀이 나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큰 북

마침 안개비가 내려서 멀리까지 금강산 줄기를 못 쳐다보는게
유감이긴 하지만 운치가 얼마나 좋던지....

약간 높은곳에서 내려다 본 절 풍경, 장독대가 유난히 눈에 띈다.

명부전

웃고 있는 부처님 앞에서 나도 약수 한잔 마셔 본다.
뼛속까지 시원해 지는 느낌이다.




이 문은 절 입구의 일주문이 아니고 삼성각으로 올라가는 문이다.

미타암. 조선 정조대왕의 원찰이다.
정조18년 도한대사께서 약사전에서 나라를 위해 기도정진을 하던 중
빛이 나와 한양의 궁궐에 이르렀다. 이에 정조께서 크게 기뻐해
화암사 미타암 화옹전을 생모인 가순궁의 원당으로 삼고 6폭 병풍을
하사하는 한편 절의 사방금표(사찰의 구역을 나라법으로 정해 보호하는
표식)를 정해 주었다.

삼성각, 올라가는 돌계단 옆으로 불두화가 지천으로 피었다.
부처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불두화라고 부른다고 하는 꽃,
지금 한창 피어 있다.
이 삼성각은 금강산 1만2천봉 8만9암자중 남쪽의 처음이자 마지막의
삼성각이라고 한다.



다리 아프다고 삼성각으로 올라가지 않고 문 바깥에 서 있는 두친구의
모습이 너무 멋지네. ㅋㅋ


비가 그치면서 수바위가 어렴푸시 보이기 시작한다.


여행을 다니다 보면 배가 너무 자주 고파진다.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입맛이 좋아져서 일까?
화암사를 나와 우리는 동명항으로 갔다.

술은 안먹었지만 다섯명이 배불리 먹었는데도 80,000 원 밖에
안 나왔다. 서울같으면 어림없는 가격이다.

여기는 바다가 아니고 속초시민이 사랑하는 영랑호다. 영랑호
둘레길을 걷는 사람들이 많은걸 보면 속초시민의 운동코스인것 같다.
우리도 좀 걸어볼려고 했드니 그새 또 비가 내려서...

여행을 하면서 늘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는것이 즐겁다.
남쪽땅에서도 금강산 줄기가 시작된다는걸 이번 여행을 통해서 처음
알았다.
이 절은 오랜 세월동안 흙속에 묻힌 옥돌처럼 빛을 보지 못하다가 1991년
세계잼버리대회때 불교국가의 천여명이 대웅전에서 수계를 받으면서 유명해
졌다고 한다.
서울에서 춘천간 고속도로를 타고 동홍천까지 와서 아름다운 인제의
국도를 따라 미시령 터널을 지난 삼거리에서 바로 좌회전을 하면
대명콘도 옆길로 화암사 가는길과 표지판이 보인다.
금강산 남쪽 제1봉인 신선봉 아래 자리한 화암사,굳이 북한땅을 가지않아도
금강산을 밟을 수 있다는게 신기하기만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