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신라 불교미술의 진수, 불국사

by 데레사^^ 2015. 9. 15.

 

 

신라불교 미술의 진수, 불국사    2010/05/13 08:42

 

http://blog.chosun.com/ohokja1940/4707159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동해라  동산에  아름다운  절이 있으니

             그 이름을  화엄불국이라  일컬었다네

             임금이 주인이 되어 친히 이룩하시니

             절 이름  네 마디에 심중한  뜻이 담겼네

             화엄을  꿰뚫으면   그 속에 연화장이  있고

             불국으로  치닫는  마음   안양으로  이어지면

             마산(魔山)으로 해서  독한  기운  가라 앉히니

             마침내  고해의 격랑을  없애 버렸네

     

   이  시는  고운  최치원   선생이 불국사를  노래한 화엄불국사 아미타불찬을   요즘 글로

   옮긴것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량이 어우러진  신라불교 미술의 정수인  이 불국사는

   1995년  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되었다.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10년(751년) 에  재상  김대성이 발원하여 혜공왕 10년(774년)에

    완성,   조선  선조 26년 (1593년) 임진왜란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건물이 모두 불타버려  그후 대웅전 일부를  다시 세웠고  1969-1973  에

    처음 건립당시의  건물터를  발굴  조사,  대대적 복원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동서 길이 90여 미터나 되는  석축과  청운교, 백운교 위에  자하문  대웅전  무설전이

     남북으로 놓였고  석가탑  다보탑이 서  있다.

 

     불국사는 화려하고  장엄한  부처의 나라를  이 땅에 세워 찬미하던  수도자들이 불도를

     닦던 곳이다.

    

 

 

     자하문 앞  돌  층층다리,   백운교  청운교의  정면 모습이다.

     이 편에서  저 편으로  건너가는것을  다리라고 하듯이  낮은 자리에서  높은 자리로

     오르는   시설도  다리라  부른다.  백운교  청운교도  그런  층층다리의  하나다.

     이 백운교  청운교는  국보 23호로   층층다리가  국보로  지정된 예는  세계에서도

     흔하지  않다.

 

 

 

 

     옆에서 본 모습

 

 

 

 

 

 

 

 

 

    이 사진은  연화교와  칠보교를  정면으로  찍은것이다.

 

 

 

 

 

 

 

     백운교  청운교의 홍예 전경

 

 

 

 

   수미산을  상징하는  자연석  바위들

 

 

 

 

 

 

 

 

    개량종이 아닌  우리나라 철쭉이  불국사 마당에  피었다.

 

 

 

 

 

 

 

 

      다보탑과  석가탑의  아름다운  모습.

      아침 일찍  1번으로  들어 간  덕에  이렇게  한가하게  사진을  찍을수  있어서  좋다.

 

 

 

 

   

 

 

    다보탑에  남아 있는  돌사자

    원래는  네마리가  있었는데  일인 고관이  다녀간 뒤에  깨어진  사자 한마리만

    남고  다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석가모니 불을 모신 법당

    681년에  창건,  여러차례의  중수를 거쳐  1765년  창건당시의  기단 위에  중건하였으며

    조선 후기  불전건축의  대표작이다.

 

 

 

 

    일찍  간  탓에  대웅전의  안의  부처님 모습을  몰래 찍을수  있었다.

    대웅전  내부는  찰영금지인데...

 

 

 

 

 

 

 

 

 

 

 

    오른쪽의  사리탑은  고려초기의 작품이다.

    1905년  일본으로  가져갔던 것을   1933년   회수하여  다시  세워진것이라고 한다.

 

 

 

 

 

 

    무설전은   경론을  강설하던 곳이다.

    670 년  의상대사가  이곳에서  최초로  강의를  하였다고 하며

    여러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쳐  1973년에  복원하였으며  건축양식은  조선후기에

    속한다고  함.

 

 

 

 

     무설전 에서 바라 본  대웅전의 뒷 모습

 

 

 

 

 

 

 

 

 

    관음전  올라 가는  길

 

 

    관음전

    751년에  건립,   이 곳 역시  여러차례의 보수,  중건을  거쳐  1973년  복원하였으며

    조선초기의  건축양식이라고 함.

 

 

 

 

 

     관음전  마당에서  내려다 본  풍경

 

 

 

 

 

 

 

 

 

     멀리 보이는 비각이  사리탑이다.

 

 

 

 

     비로전,  국보 26호인   금동 비로자나불 (8세기 중엽  작품)이  모셔져  있는데

     여기서는  사진을  찍을수가  없어서  아쉽다.

 

 

 

 

    비로전을  돌아 나오니  돌탑들이....

    이 분들의 소원도  이루어 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도  손을  모았다.

 

 

 

    극락전과   극락전 앞의 복돼지.   가까이 가서 보면  사람들의 손이 닿아서  반들반들 하다.

 

          불국사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갔었지만  이렇게  한가하게

          구경 해 보기도  처음이다.  언제나  인파에  밀려 가고  밀려 오고 했었는데

          문 열자마자  1등으로  들어 갔드니  이렇게 호젓할수가.....

         

          불국토  형성을 위한  신라인들의  최대의  불사였을   불국사를   돌아 보는 내내

          감탄과  찬사가  맴돌았지만   다 표현 못하는   글솜씨와  사진솜씨가  못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