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라 동산에 아름다운 절이 있으니
그 이름을 화엄불국이라 일컬었다네
임금이 주인이 되어 친히 이룩하시니
절 이름 네 마디에 심중한 뜻이 담겼네
화엄을 꿰뚫으면 그 속에 연화장이 있고
불국으로 치닫는 마음 안양으로 이어지면
마산(魔山)으로 해서 독한 기운 가라 앉히니
마침내 고해의 격랑을 없애 버렸네
이 시는 고운 최치원 선생이 불국사를 노래한 화엄불국사 아미타불찬을 요즘 글로
옮긴것이다.
풍부한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량이 어우러진 신라불교 미술의 정수인 이 불국사는
1995년 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되었다.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10년(751년) 에 재상 김대성이 발원하여 혜공왕 10년(774년)에
완성, 조선 선조 26년 (1593년) 임진왜란때 의병의 주둔지로 이용된 탓에 일본군에
의해 목조건물이 모두 불타버려 그후 대웅전 일부를 다시 세웠고 1969-1973 에
처음 건립당시의 건물터를 발굴 조사, 대대적 복원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동서 길이 90여 미터나 되는 석축과 청운교, 백운교 위에 자하문 대웅전 무설전이
남북으로 놓였고 석가탑 다보탑이 서 있다.
불국사는 화려하고 장엄한 부처의 나라를 이 땅에 세워 찬미하던 수도자들이 불도를
닦던 곳이다.

자하문 앞 돌 층층다리, 백운교 청운교의 정면 모습이다.
이 편에서 저 편으로 건너가는것을 다리라고 하듯이 낮은 자리에서 높은 자리로
오르는 시설도 다리라 부른다. 백운교 청운교도 그런 층층다리의 하나다.
이 백운교 청운교는 국보 23호로 층층다리가 국보로 지정된 예는 세계에서도
흔하지 않다.

옆에서 본 모습


이 사진은 연화교와 칠보교를 정면으로 찍은것이다.


백운교 청운교의 홍예 전경

수미산을 상징하는 자연석 바위들


개량종이 아닌 우리나라 철쭉이 불국사 마당에 피었다.


다보탑과 석가탑의 아름다운 모습.
아침 일찍 1번으로 들어 간 덕에 이렇게 한가하게 사진을 찍을수 있어서 좋다.


다보탑에 남아 있는 돌사자
원래는 네마리가 있었는데 일인 고관이 다녀간 뒤에 깨어진 사자 한마리만
남고 다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석가모니 불을 모신 법당
681년에 창건, 여러차례의 중수를 거쳐 1765년 창건당시의 기단 위에 중건하였으며
조선 후기 불전건축의 대표작이다.

일찍 간 탓에 대웅전의 안의 부처님 모습을 몰래 찍을수 있었다.
대웅전 내부는 찰영금지인데...



오른쪽의 사리탑은 고려초기의 작품이다.
1905년 일본으로 가져갔던 것을 1933년 회수하여 다시 세워진것이라고 한다.

무설전은 경론을 강설하던 곳이다.
670 년 의상대사가 이곳에서 최초로 강의를 하였다고 하며
여러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쳐 1973년에 복원하였으며 건축양식은 조선후기에
속한다고 함.

무설전 에서 바라 본 대웅전의 뒷 모습


관음전 올라 가는 길

관음전
751년에 건립, 이 곳 역시 여러차례의 보수, 중건을 거쳐 1973년 복원하였으며
조선초기의 건축양식이라고 함.

관음전 마당에서 내려다 본 풍경


멀리 보이는 비각이 사리탑이다.

비로전, 국보 26호인 금동 비로자나불 (8세기 중엽 작품)이 모셔져 있는데
여기서는 사진을 찍을수가 없어서 아쉽다.

비로전을 돌아 나오니 돌탑들이....
이 분들의 소원도 이루어 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도 손을 모았다.

극락전과 극락전 앞의 복돼지. 가까이 가서 보면 사람들의 손이 닿아서 반들반들 하다.
불국사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갔었지만 이렇게 한가하게
구경 해 보기도 처음이다. 언제나 인파에 밀려 가고 밀려 오고 했었는데
문 열자마자 1등으로 들어 갔드니 이렇게 호젓할수가.....
불국토 형성을 위한 신라인들의 최대의 불사였을 불국사를 돌아 보는 내내
감탄과 찬사가 맴돌았지만 다 표현 못하는 글솜씨와 사진솜씨가 못내
아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