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헌 윤봉길 의사는 78년전 1932,4,29 상해의 홍구공원에서 개최한 일제의
천장절 및 전승기념 축하식장을 폭파하는 거사를 성공하시고 즉시 체포되어
그해 12,29 총살형으로 일생을 마감하셨다.
고향인 예산의 덕산면에 생가와 기념관, 사당인 충의사가 있다.


저한당 (성장하신 집)
부친 윤황씨가 1911년 봄 이곳으로 이사하여 사시던 집으로 1930 년 윤의사가
망명길에 오르기 전까지 온갖 민족운동을 펴시던 독립운동의 터전이다.
사적지로 지정되던 1972년 8월까지 이집에서 유족들이 살았다고 한다.



규모는 그리 크지않으나 깨끗하게 보존되어 있어서 마음이 흐뭇하다.




생가 광현당의 이모저모다.



부흥원은 윤의사께서 1928년 21세때 창설하여 야학회, 월진회등 농촌계몽
운동을 하시던 곳이다.

부흥원의 천정과 마루바닥

부흥원이 있는 마을을 에워싸고 흘러가는 도중도의 시냇물.

생가가 있는 마을을 나와 기념관으로 향했다. 기념관을 들어서자 마자
보이는 윤의사의 기개가 서린 글이 보인다.
"사내 대장부는 집을 나가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



윤의사의 친필들이다.


생전에 사용하셨던 유품

활동무대를 지도의 화살표로 보여주고 있다.



1932,4,29 의거 당시 윤의사께서 가지고 계셨던 소지품.
순국후 일본정부로 부터 보내온 것이라고 한다. 회중시계는 김구 주석과 최후로
작별할 때 정표로 서로 바꾸어 가진것.

윤뵹길의사에 관해서 저술된 책들이다.


충의사,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이곳에서 향불을 피우고 절을 올렸다.

사당안 모습

어록탑을 돌아 나오는 곳에 윤의사의 부인의 묘소가 있어서 이곳도
참배하고....
윤의사는 효창공원에 계시는데 부인은 고향마을에 계시다니 죽어서나마
한곳에 계시게 해주면 안될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윤봉길 의사의 약력
1908,6,21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서 출생
1918년 11세에 덕산 보통학교 입학
1919년 기미 3,1 운동시 자퇴하여 한문 수학
1922년 15세때 배용순 여사와 결혼
1926년 19세때 야학회와 독서회조직, 문맹퇴치 및 농촌지도 계몽운동
1927년 20세때 농민독본 저술
1928년과 1929 년에는 불과 21세의 나이로 부흥원을 설립, 증산운동, 월례강연회
월진회, 수암체육회등을 조직
1930 년 23세때 일제의 탄압을 피해 중국으로 망명
1931 년 24세때 김구선생과 만나 독립운동
1932,4,29 25세때 상해의 홍구공원에서 열린 일본의 천장절겸 전승기념식장을 폭파
1932,12,19 일본의 금택형무소에서 순국
1946,6,30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
요즘같으면 자기 몸 챙기기에도 힘들 어린 나이에 윤의사께서는 온갖 훌륭한
일을 다 하셨다.
상해의거 기념일을 앞두고 생가와 기념관을 찾아 보면서 저절로 머리가 숙여졌다.
정말 훌륭하신 분.
내일, 서울과 중국 상하이에서 기념식이 동시에 열린다고 한다.
서울에서는 11시 양재동 매헌기념관에서, 상해에서는 거사장소인 홍구공원(지금은 루쉰공원)
에서.
다시 한번 머리숙여 묵념을 올리며 이 보잘것 없는 글이 윤봉길 의사의 흔적을 찾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바래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