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봉정사 극락전은 최고의 목조건물, 안동(3)

by 데레사^^ 2015. 9. 15.

 

 

봉정사 극락전은 最古의 목조건물, 안동(3)    2010/04/16 02:14

 

http://blog.chosun.com/ohokja1940/464736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천등산에  있는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 (672년) 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원래는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중  천녀가  스님의 수행에  감복하여 굴 안을

   훤히 비추어 주었다.   이로  인하여  산 이름을  천등산이라  하였다  하며

   스님께서  수도를 한 후  도력으로  종이 봉을  접어서  날렸는데   이 종이 봉이

   앉은  곳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하였다고   안내문에  씌어  있다.

 

 

 

   절로  오르는  입구도  조용하고   고즈넉해서   좋다.

 

 

 

 

 

 

 

 

    벌써  초파일 준비를  하는지  연등이  걸렸다.

 

 

 

 

    돌계단이  요란스럽지  않고  자연미가  있어서  너무  마음에  든다.

    어떤  절에는  시멘트를  발라서  꼭  무술영화의  세트장  같이  만들어  놓은 곳도

    있는데   여기는  크고 작은   돌들로  자연스럽게  계단이  되어 있어서  운치가

    있다.

 

 

 

 

    봄이 오고  있는  봉정사,  나무에  꽃이  피어 있다.

 

 

 

 

    돌 계단을  올라와서  이 문으로 해서  절안으로  들어  갔다.

 

 

 

 

   

 

 

 

    법고가  있는  위로  고기도  한마리  달려 있네...

 

 

 

 

 

 

 

 

 

 

 

 

 

 

 

 

    유명한  봉정사의  극락전이다.

    현존하는  목조건물중  가장 오래된,  국보 15 호로  지정된  극락전.

    1972년  봉정사 극락전을  중수하기  위해  완전 해체 했을 때  중도리에  홈을  하고

    "기록이 들어 있는 곳"  이라는  뜻으로   기문장처(記文藏處)  라고  표시한게  있어서

    열어 보았더니  정말로  상량문이  거기에  들어  있었다고  한다.

 

 

    지붕이 낮아  안정감이  있으며  기둥들은  배흘림을  하고  있다.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  극락전은  공민왕 12년 (1363년) 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나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로  판명되었다.

    안에  봉안된  아미타불의 사진은  찍을수가  없었다.

 

 

 

 

   이 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높이 3,5 미터의  자그마한  규모지만  석탑의  전형을

   충실히 따른  탑으로    경북유형문화재 182 호로 지정되었다.

 

 

 

 

 

 

 

 

 

 

 

    마당도  계단도  시멘트가  아닌  흙이라  정말  좋다.

    모처럼   조용하면서도  별로  손을  타지  않은  절집을  만나서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봉정사를   하직했다.

 

   

 

 

    이곳은  오천유적지다.  

    봉정사를  나와  도산서원을  찾아가는  길에서  만난  마을이다.

 

 

 

 

   

 

 

 

    안동댐 건설할때  본래  예안면  오천리에  있던  광산 김씨의  예안파  동성 마을을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고  한다.

    집  한 채  한 채가  조선기와집의  멋과  격식을  잘  보여주는 곳이라고  하는데

    마을  안으로  들어 가 보지를  못했다.

 

    하룻만에  병산서원,  하회마을,  봉정사를  거쳐  도산서원까지  보고   올려니

    길이  바빠서....

 

 

 

 

 

 

 

   이렇게  입구에서  사진  몇장만  찍고  돌아서  나올려니  정말  아쉬웠다.

 

       안동을  다 돌아 볼려면   한 1주일은  걸려야만  어느정도  볼수 있을것 같다.

       작년에  한번  와서   안동김씨의 종택들을  둘러보고  가고   이번에도

       하룻만에  여기 저기를  볼려니  사실은  숨 가쁘다.

 

       육사기념관도  지척인데  발길은  도산서원쪽으로  향한다.   어느덧   해가

       뉘엿 뉘엿  넘어가고  있다.  저녁 6시면  문을  닫는다는데  빨리   가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