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남아 , 중국

대만의 상징 중정기념관, 대만여행(7)

by 데레사^^ 2015. 8. 8.

 

 

대만의 상징 중정기념관, 대만여행(7)    2012/01/21 05:29

 

http://blog.chosun.com/ohokja1940/615202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중정기념관은   중화민국  초대 총통이었던   장제스(將介石)을  기념해  1980 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높이 70미터,  넓이 25만 평방미터의 땅에  대리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중국인

                   들이 좋아하는 8자를  넣어  팔작지붕으로  지어졌다.

 

                   1975년  장제스가  사망하자  행정원이 전 국민의  애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1975, 6월에  기념당 건설을  결정하고  그해 10,31  기공식을  치루고

                   1980,3,3 에 완공,   4,5 부터  일반에 공개된   중정기념관은  2007년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진보당이  국립대만 민주기념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장제스와 관련된 물품을

                   상당수 없애 버렸다.   이에  크게 반발한  국민당이  2009 년   마잉주의  집권으로

                   이름을  다시  돌려놓은것이라고 한다.

 

 

 

 

                     중정(中正)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제스(介石)는   자다.

                    

                     이곳에  들렸을 때  중학교 3학년  손녀가  물었다.  "장제스가  누구냐고"

                     그래서 내가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니?  하고  물었드니  안 배웠다는  대답이다.

                     요즘  학생들에게는  가까운 나라의  근대사를  안  가르치나 보다.

                     우리들은   배웠는데....

 

 

 

 

                      기념관의  앞 마당에는  양 옆으로   국립극장과  국가음악청이  지어져 있다.

                      이 건물들은  전통양식으로  지어졌다.

 

 

 

 

 

 

 

 

 

 

 

 

 

 

                       자유광장,  이 곳도  이름이  바뀌었다가  도로  돌려졌다고  한다.

                       정치지도자의  이념에 따라   기념관의  이름이  바뀐다는건  좀...

 

 

 

 

                                기념관으로  들어가는   문,   육중하다.

 

 

 

 

                      이 복도에서 2층의  정청까지의 계단이 89개인것은  장제스가  89세에

                      사망한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올 해가  용의 해라  들어가는  입구에  용장식을  해 놓았다.

 

 

 

 

                               장제스의 동상은   총통부를  바라보고  있다.

 

                           장제스,   그는  누구인가?

                           1887,10,31  저장성  평화현에서  태어난  장제스는  1906 년  바오딩 군관학교에

                           입학,   다음에  일본 육군사관학교로  유학을 떠나,  일본유학중  중국동맹회에

                           가입,  1911년  신해혁명에  참가한다.

                           쑨원(孫文)의  신임을  얻어  1923  제1차  국공합작때는  소련으로 군사시찰을

                           갔으며  귀국후  황푸군관학교  교장을  겨처  1926년  국민군 총사령관이 되고

                           1927,4월   상하이 쿠테타를  이르켜  북벌을 완수하고  공산당을  축출,

                           1928년 베이징을  점령한다.

 

                           이후  난징(南京) 정부의 실권을 장악,  총통이 되었으나  1949년  공산당에

                           패하여  본토로 부터  대만으로  정부를  옮겼다.

                           1975년  사망시 까지  대만의  총통을  역임했으며   중화민국 내에서는

                           쑨원  다음으로  제 2의 국부로  불리우고  있다.

                          

 

 

                           기념관의  위병,  마네킹처럼   꿈쩍도  않는다.

 

 

 

 

                          기념관의  천장

 

 

 

 

                           기념관  안에는  생전의  활동상을  담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장제스가  입었던  군복

 

 

 

 

 

 

 

 

 

                              장제스의   글씨

 

 

 

 

                           결혼식때  입었던   양복

 

 

 

 

                       이 자동차는   55년산  미국 캐디락으로  필리핀에  살던  화교가

                       장제스에게  사 주었던  차라고  한다.

 

 

 

 

                    중국 정치의 양대산맥,  쑨원과  장제스가  통일을 협의하기 위해  회숙성으로

                    기차을  타고  가는  장면을  그려놓은 것이다.

 

 

 

 

                       이 자동차도  살아 생전  장제스가  타던  차다.

 

 

 

 

 

 

 

 

 

                         부인  쑹 메이링(宋美鈴)  여사와   함께.

 

                          쏭 메이링 여사는  1898 년  광동성의 재벌  송씨가문의 4남매중  셋째로

                          태어 나  미국  웨슬리대학을  졸업하고  장제스와  결혼,  서방세계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강하고  아름다운 여인이라고  불리웠으며   사정없이 권력과

                          결혼한 여인,  자유분방한 미녀 로비스트,  서태후 왕관의 진주알을  결혼식

                          구두에 단 여인 이라는 등  말도  많았다.

                          2003,10,24   미국의 뉴욕에서  106살에  타계했다.

 

                          이 송씨가문의  세 딸은  모두  내노라하는  사람들과  결혼을  해서  화제가

                          되었던  사람들이다.

                          첫째인   아이링은   돈을 사랑해서  금융재벌인  궁상시(孔祥熙)와 결혼했고

                          둘째인   칭링은    중국을  사랑해서  아버지의 친구였던  27살  연상의

                          쑨원과  결혼했고

                          셋째인   메이링은  권력을  사랑해서  장제스와  결혼했다는  평판을 들었던

                          이들도  이제는  다  역사속으로  사라져  갔다.

 

 

 

 

                            목걸이가  아니고  훈장들이다.

 

 

 

                      우리의 박정희 대통령의 모습이  보인다.

                      박대통령의  대만방문이  해외순방의  첫걸음이었다고  하며   박대통령은

                      장제스를  멘토로  했다는  말이  있을만큼  당시  우리나라와   중화민국은

                      혈맹의 관계였지만  1992년  그때까지 죽의장막으로  불리던  중국과  수교를

                      하면서  외교관계가  단절되었다.

 

                      장제스는  1930년대  우리 임시정부 활동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장제스의  집무실 모습이다.     장제스가  앉은 반대편에도  서랍이  붙어있는

                       책상이다.   이는  장제스의 신념인   방문자도 자신과  동등하게   여기기

                       위함이라고 한다.

 

                       장제스 기념관은    장제스 사후  메이링 여사가 주축이 되어   모금한

                       3억3,000 만  US달러로  지어졌으며   남은 돈으로  관리까지  한다고  가이드는

                       설명했다.

                      

                       부럽다.  우리는  지금까지  아홉분의 대통령을  가졌지만   변변한  기념관

                       하나  없으며  늘  매도 당하기만  하는데....

                       사후에도  여전히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는  장제스의  기념관에서  나는 참

                       많은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너무 너무  부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