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정기념관은 중화민국 초대 총통이었던 장제스(將介石)을 기념해 1980 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높이 70미터, 넓이 25만 평방미터의 땅에 대리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중국인
들이 좋아하는 8자를 넣어 팔작지붕으로 지어졌다.
1975년 장제스가 사망하자 행정원이 전 국민의 애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1975, 6월에 기념당 건설을 결정하고 그해 10,31 기공식을 치루고
1980,3,3 에 완공, 4,5 부터 일반에 공개된 중정기념관은 2007년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진보당이 국립대만 민주기념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장제스와 관련된 물품을
상당수 없애 버렸다. 이에 크게 반발한 국민당이 2009 년 마잉주의 집권으로
이름을 다시 돌려놓은것이라고 한다.

중정(中正)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제스(介石)는 자다.
이곳에 들렸을 때 중학교 3학년 손녀가 물었다. "장제스가 누구냐고"
그래서 내가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니? 하고 물었드니 안 배웠다는 대답이다.
요즘 학생들에게는 가까운 나라의 근대사를 안 가르치나 보다.
우리들은 배웠는데....

기념관의 앞 마당에는 양 옆으로 국립극장과 국가음악청이 지어져 있다.
이 건물들은 전통양식으로 지어졌다.



자유광장, 이 곳도 이름이 바뀌었다가 도로 돌려졌다고 한다.
정치지도자의 이념에 따라 기념관의 이름이 바뀐다는건 좀...

기념관으로 들어가는 문, 육중하다.

이 복도에서 2층의 정청까지의 계단이 89개인것은 장제스가 89세에
사망한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올 해가 용의 해라 들어가는 입구에 용장식을 해 놓았다.

장제스의 동상은 총통부를 바라보고 있다.
장제스, 그는 누구인가?
1887,10,31 저장성 평화현에서 태어난 장제스는 1906 년 바오딩 군관학교에
입학, 다음에 일본 육군사관학교로 유학을 떠나, 일본유학중 중국동맹회에
가입, 1911년 신해혁명에 참가한다.
쑨원(孫文)의 신임을 얻어 1923 제1차 국공합작때는 소련으로 군사시찰을
갔으며 귀국후 황푸군관학교 교장을 겨처 1926년 국민군 총사령관이 되고
1927,4월 상하이 쿠테타를 이르켜 북벌을 완수하고 공산당을 축출,
1928년 베이징을 점령한다.
이후 난징(南京) 정부의 실권을 장악, 총통이 되었으나 1949년 공산당에
패하여 본토로 부터 대만으로 정부를 옮겼다.
1975년 사망시 까지 대만의 총통을 역임했으며 중화민국 내에서는
쑨원 다음으로 제 2의 국부로 불리우고 있다.

기념관의 위병, 마네킹처럼 꿈쩍도 않는다.

기념관의 천장

기념관 안에는 생전의 활동상을 담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장제스가 입었던 군복


장제스의 글씨

결혼식때 입었던 양복

이 자동차는 55년산 미국 캐디락으로 필리핀에 살던 화교가
장제스에게 사 주었던 차라고 한다.

중국 정치의 양대산맥, 쑨원과 장제스가 통일을 협의하기 위해 회숙성으로
기차을 타고 가는 장면을 그려놓은 것이다.

이 자동차도 살아 생전 장제스가 타던 차다.


부인 쑹 메이링(宋美鈴) 여사와 함께.
쏭 메이링 여사는 1898 년 광동성의 재벌 송씨가문의 4남매중 셋째로
태어 나 미국 웨슬리대학을 졸업하고 장제스와 결혼, 서방세계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강하고 아름다운 여인이라고 불리웠으며 사정없이 권력과
결혼한 여인, 자유분방한 미녀 로비스트, 서태후 왕관의 진주알을 결혼식
구두에 단 여인 이라는 등 말도 많았다.
2003,10,24 미국의 뉴욕에서 106살에 타계했다.
이 송씨가문의 세 딸은 모두 내노라하는 사람들과 결혼을 해서 화제가
되었던 사람들이다.
첫째인 아이링은 돈을 사랑해서 금융재벌인 궁상시(孔祥熙)와 결혼했고
둘째인 칭링은 중국을 사랑해서 아버지의 친구였던 27살 연상의
쑨원과 결혼했고
셋째인 메이링은 권력을 사랑해서 장제스와 결혼했다는 평판을 들었던
이들도 이제는 다 역사속으로 사라져 갔다.

목걸이가 아니고 훈장들이다.

우리의 박정희 대통령의 모습이 보인다.
박대통령의 대만방문이 해외순방의 첫걸음이었다고 하며 박대통령은
장제스를 멘토로 했다는 말이 있을만큼 당시 우리나라와 중화민국은
혈맹의 관계였지만 1992년 그때까지 죽의장막으로 불리던 중국과 수교를
하면서 외교관계가 단절되었다.
장제스는 1930년대 우리 임시정부 활동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장제스의 집무실 모습이다. 장제스가 앉은 반대편에도 서랍이 붙어있는
책상이다. 이는 장제스의 신념인 방문자도 자신과 동등하게 여기기
위함이라고 한다.
장제스 기념관은 장제스 사후 메이링 여사가 주축이 되어 모금한
3억3,000 만 US달러로 지어졌으며 남은 돈으로 관리까지 한다고 가이드는
설명했다.
부럽다. 우리는 지금까지 아홉분의 대통령을 가졌지만 변변한 기념관
하나 없으며 늘 매도 당하기만 하는데....
사후에도 여전히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는 장제스의 기념관에서 나는 참
많은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너무 너무 부러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