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남아 , 중국

헬멧쓰고 다닌 타이루꺼 협곡, 대만여행(4)

by 데레사^^ 2015. 8. 8.

 

 

헬맷쓰고 다닌 타이루꺼 협곡, 대만여행(4)    2012/01/15 03:54

 

http://blog.chosun.com/ohokja1940/6138110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이 산에 있는  대리석만  팔아도  대만국민이 30년은  먹고 살수  있다는  타이루꺼협곡,

                  2565미터의 고지까지  자동차가 갈 수 있지만  당국이 지정한  관광코스는  20킬로다.

                  오랜 세월동안의  침식작용에 의해  대리석과  화강암의 산이 강의 흐름에  따라

                  깎여져  좁은 협곡을  이룬  지형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곳은  동양의

                  그랜드캐년이라고  불리울만큼  아름다운 곳이다.

                  하늘을 찌를듯  솟아 있는  산 사이로  좁은 길이 이어지고   수백미터 아래로 흐르는

                  강 위에는  수십미터 높이의 대리석 기둥이 솟아있으며  산 속에 뚫린  작은  터널너머로

                  펼쳐지는  출렁이는 다리,  크고 작은 폭포의 물줄기가  한데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이 곳을  가는 날도  비는  여전했다.   사진은  화련기차역이다.

                     타이페이에서  3시간 반을  달려  이 역에서  내려  버스를  타고  타이루꺼 협곡으로

                     간다.

 

 

 

                     비 내리는  날이라  산  골짝마다  구름이 드리워져  있어  걷기에는  불편하지만

                     경관은  아주 좋다.

 

 

 

 

 

 

 

 

 

                         자동차를  내려서  걷기 시작하자  모두에게  헬맷이  지급되었다.

                         낙석이 심해서  머리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관광객은  의무적으로  모두

                         이 헬맷을  쓰게 되어 있다.

                         태어나서  생전 처음으로  헬맷을  써보는  영광을  누리다니....

 

 

 

 

                    계곡의 굴곡이 굽이굽이  이어지는  구곡동의   대리석에는  오랜  풍화작용으로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데  이곳은  또한  제비들의 둥지가 되기도 한다.

                    이 대리석 바위에는  고사리같은  암석식물이 자라는데  자세히 보면  땅을 향하여

                    자라고  있는것이  보인다.

 

 

 

 

 

 

 

 

 

                      물빛이  검은건  시멘트가  섞여  있어서라고 한다.   이 산에  대리석과 함께

                      시멘트가  많아서이다.

 

 

 

 

                   비는  내리고   길은  미끄럽고...   우리는  모두 헬맷을 쓰고   용감하게 걸었다.

 

 

 

 

                     걷다가  쉬다가   사진찍다가....

 

 

 

 

 

 

 

 

 

 

 

 

 

 

 

 

 

 

 

                             낙석주의를  알리는  표지판

 

 

 

 

 

 

 

 

 

                        쳐다만 봐도  아슬아슬한  저 길을  걸었다.   이 협곡의  도로는  1956년에

                        시작하여  1960년 까지  4년이 걸려  완성되었다고 한다.  94,8 킬로미터의

                        이 도로공사는  군인과  죄수들이  자연을 훼손하지 않기 위하여  일일히

                        손으로  돌에 정을 찧어서  건설했다고 하며  그래서  많은  희생자를  내었다.

                        그들의 희생덕분으로  이렇게  편하게 구경하는구나  하고  생각하니 고마운

                        마음과  애틋한  마음에  가슴이  먹먹해 왔다.

 

 

 

 

                     이 곳이  이 타이루꺼  협곡에서  마주하는 단애의 절벽이 가장 좁은 곳이다.

                     불과 16미터의 간격이다.

                     멀리서 보면   붙어있는것  같다.

 

 

 

 

                       가이드가  여기서 하늘을 보고  사진을 찍으면  고구마 모양의  대만지도가

                       된다고 해서  찍었는데   그런것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한게  사진을

                       잘 못 찍어서인가 보다.

 

 

 

 

                      이 협곡의 절벽들은  거의가 이렇게  90도  직각이다.

                      그래서  이곳은  사람이  절대로  올라 갈수가  없다고  한다.

 

 

 

 

                            자모교.    이 다리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정자가  하나씩  세워져 있다.

                            왼쪽 정자는  공사 나간  아들을  기다리는  어머니가  서 있었던  곳이고

                            오른쪽  정자는  그 어머니를  기념하기 위하여   공사가 끝난 후  당국에서

                            지어 준 것이라고 한다.

 

 

 

 

                                이 정자다.  왼쪽이  어머니가 기다리던  장소이고   우리가  올라가고

                                있는 곳은  뒤에  세워진 정자다.

 

 

 

 

                            크고 작은  폭포도  꽤  여러개가  있었는데....

 

 

 

 

                      장춘사,   이 곳이  도로를  건설하다  순직한 212명의  영령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버스에서 내려  장춘교 다리를  건너  구불구불한  길을  비를  맞으며  걸어서

                    갔다.

 

 

 

 

                       

 

 

 

 

 

 

 

 

 

 

 

 

 

 

                            장춘사로  가는 길에 접어들자  갑자기  시야가  확  트이면서  중국영화에서

                            자주 보았던  풍경들이  펼쳐졌다.

 

 

 

                      이곳은  물빛이  파랗네...

 

 

 

 

 

                     타이루꺼 협곡은  대만에서 가장  경이로운  자연의 산물이다.

                     자연의 걸작품과  더불어  동식물의 생태계 보존  또한  잘되어  있는  이 곳은

                     국제수준의  자연국가 공원으로  공인받고  있는 곳이다.

                     타이루꺼라는   협곡 이름은  그 옛날 이지역에서  용맹을  떨쳤던 추장 타로코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