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거진항에서 통일전망대 까지 드라이브

by 데레사^^ 2015. 9. 27.

거진항에서 통일전망대 까지 드라이브    2011/11/04 00:42

 

http://blog.chosun.com/ohokja1940/5960894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거진항을  출발하여  초도항을 지나고   남한땅  가장 북쪽에  있는  대진항을 거쳐

               건봉사, 통일전망대 까지 달려 보았다.

 

                  드라이브길에  초도항 부근에서  광개토대왕릉 으로  추정하는  거북섬도  바라보고

                  명태잡이로  형성되었던  어항들에서   이제는  명태가  전혀  잡히지 않는다는

                  얘기도  듣고,  김일성,  이승만 전대통령, 이기붕의  별장이  있는  화진포 바다도

                  보면서   민통선 안에  있는  건봉사, 통일전망대,  DMZ박물관까지  하루에   다

                  돌아 보았다.

 

 

 

                     이 곳은  거진항이다.

                     거진항은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향으로 90년대 이전  명태어획량  급증으로  형성

                     된 곳이다.

 

 

 

 

 

 

 

 

 

                     지금은  명태는  잡히지  않지만  또다른  어종들이  잡히기  때문인지  거진항은

                     조용하지  않고  활기가  넘쳐서  보기에  좋았다.

 

 

 

 

                    거진항 등대를  줌으로  당겨서  찍어 보았는데  사진이  너무  희미하다.

                    등대는  빨간색과  하얀색   두 개다.

                    배도  자동차처럼  우측통행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빨간등대는  입항을

                 유도하고   하얀등대는  출항을  유도하지만  빨간색등대는  우현의 마지막

                    지점을  나타 내 주는  표지로  왼쪽으로  운행하라는  의미이고  하얀등대는

                    좌현의 마지막 지점을  나타 내 주는  표지로  오른쪽으로  운행하라는 의미라는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

                    그리고  야간에는   하얀등대에서는  녹색등,  빨간등대에서는 빨간등이  켜저서

                    선박이 녹색등과  빨간등의  사이로  들어오면  안전하게  입항하였다는 뜻이라고

                    한다.

 

 

 

 

                     앞에 보이는  섬이  광개토대왕능 으로 추정하는  거북섬이다.

 

 

 

 

                     세상에  우리나라  동해안에  광개토대왕능이  있다는 말은  처음 들었다.

                     중국  집안현 통구평야에  好太王능을   광개토대왕능이라고  알고  있던

                     내게 이곳에  광개토대왕능이  있다는  사실은  무척  놀라운  사건이다.

                     물론  아직은  사실 확인이 덜 된  상태라고는 하지만.

 

 

 

 

                      광개토대왕능인  거북섬이  바라보이는  초도항에 세워진   안내문이다.

 

 

 

 

                        이곳은  초도항,  어촌마을체험도  할수  있는  곳이며  해마다   5월에

                        성게축제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마을입구에  성게모양을  한  조각품이   서 있다.

 

                     성게는  부산지역에서는  앙장구라고  부른다.

                        표면에는 가시가 많아 밤송이같이  생겼으나   그 단단한 껍질속에  맛있는

                        난소가  들어 있는데  이 난소가  체력증강, 미각장애, 피부장애를  예방한다고 하며

                        특히  스트레스 해소와   노화방지,  암예방에  좋다고 한다.

 

                        

 

 

 

                        초도항의  모습이다.

 

 

 

 

 

 

 

 

 

 

 

 

 

 

                    아침  이른시간이라  마침  어선들이  단체로  고기잡이를  나가는  모습을

                    볼수가  있었다.

 

 

 

 

                     물살을  가르며  먼바다를  향해  빠른 속도로  달려나가는  어선들을   보면서

                     부디  많이 잡아 오기를  마음속으로  빌었다.

 

 

 

 

 

 

 

 

 

                       그야말로  장관이다.

                       아침바다를   힘차게  달려 나가는  어선들,   부디 많이 잡으세요.

 

 

 

 

 

 

 

 

 

                     무슨 고기를  낚을까?   초도항에는  낚시군들이  많이  보인다.

 

 

 

 

 

 

 

 

 

 

 

 

 

 

                     이곳은  우리 동해안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대진항

                  1920년에  축조되었으며  이곳 역시  명태잡이  어항이었다고  한다.

 

 

 

 

                     대진항의 등대는  유인등대다.

                  조업중인  선박들이 북방한계선을  넘지 않도록  신호를  주는곳이라고 한다.

 

 

 

 

                    대진항에는  소규모  어선들이  주로  정박하는  곳이지만   납북어부들  문제로

                    뉴스에서  많이  들어본  어항이다.

 

                   

 

 

 

 

 

 

                     우리 남한땅  최북단   민통선 안에  까지  들어가면서  생각이  착잡했다.

                     DMZ  저너머도  우리나라 땅인데  과연  생전에  저곳을  가볼수  있을까?

                     금강산관광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동해항에서  배를  타고  장전항으로   가서

                     북녘땅을  조금  밟아보기는 했다.   그때는  장전항에서  금강산까지  가는 도로변에는

                     거총을 한  군인들이  군데군데  서 있고  밖을  못 보도록  버스는  커텐으로 가리워

                     졌었다.   그래도  어떻게 커텐 사이로  잠깐  마을과  들판을  보기는 했었다.

 

                     외국에 나가면  누구나 애국자가 된다는  말처럼  민통선 안에 들어오니  통일에

                     대해서  간절해지는  마음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