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청풍문화재단지, 옛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수 있는 곳

by 데레사^^ 2015. 9. 25.

 

 

청풍문화재단지, 옛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수 있는 곳    2011/07/16 06:31

 

http://blog.chosun.com/ohokja1940/5701645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청풍문화재단지는

                         1978 년  충주 다목적댐 건설시  제천시 청풍면을  비롯 5개면  61개 마을이

                         수몰될 당시   산재 해 있던  문화유산을  1983년 부터 3년여에  걸쳐  1만6천평의

                         부지위에  원형대로  이전하여  복원한 곳으로   1985,12,23  개장한,  우리

                         선조들의  삶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보물,  지방유형문화재,  비지정문화재등  53점의  문화재와

                         유물전시관,  수몰역사관등이  있다.

 

                         청풍호  유람선을  타고  늦게사  이 곳에  도착해서   전시관은  둘러보지

                         못하고  문화재단지만   구경했다.

 

 

 

 

 

 

 

 

                             들어가는  입구인  팔영루다.

                         팔영루는  지방유형문화재 35호로  청풍부를  드나들던  관문이다.

                         조선  숙종 28년 (1702년)  부사  이기홍이 창건하였음.

 

 

 

 

                              팔영루 앞에  옛 무사복장의  보초,   사람이 아니고 만들어진  모형이다.

 

 

 

 

 

 

 

 

 

                         연자방아,  눈가린  소가 끌고  돌아가면서  곡식을 빻던 곳이다.

                      정미소가 없던 시절,  디딜방아, 물레방아와  함께  곡식을  빻아주던

                         고마운   연자방아다.

                         

 

 

                       도하리 고가인  이집은  지방유형문화재 83호로  건축된지가  150년에서

                    200년쯤  된  목조건물로   청풍면  도하리에서  1985년에  이전, 복원한

                    집으로 ㄷ 자 형 가옥이다.

 

 

 

 

                          돌담위에  볏짚으로  이엉을  엮어  얹어놓은  모습이 꼭  우리 고향마을 같다.

 

 

 

 

                           그때  주민들이 사용했던  농기구들이다.

 

 

 

 

 

 

 

 

 

 

 

 

 

 

 

 

                      석물군이다.   고인돌 5기와  문인석36개가  있으며  그외에도

                      조선의  군수나  부사의 공덕비, 송덕비, 선정비 31점이  있다.

 

 

 

 

 

 

 

 

 

                           한벽루는  보물 528 호다.

                       고려 충숙왕 4년(1317년)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자 이를  기념하여

                       관아에서 세운  독특한  양식의 목조건물로   연회장소로 사용되다가

                       조선 고종 7년 (1870년) 부사  이직현이  중수,  1972년  수해로 건물

                       일부가 유실,  1976년   복원된것이다.

 

 

 

 

                            한벽루 위로  올라갔드니  경치도  좋고  무엇보다  사방으로  트인 공간이라

                            시원해서   좋았다.   더운 여름날  이 곳에서   낮잠  한숨  잤으면 정말

                            좋을것  같은데....

 

 

 

 

                           한벽루를  돌아나와  언덕에  서서  바라 본  청풍호

                           

 

 

 

 

 

 

 

 

 

 

 

 

 

 

 

 

 

 

 

 

 

 

 

                            금병헌은  지방유형문화재 34호로  명원정  또는  청풍관으로도

                        불리우는  청풍부의  동헌이다.

                        조선 숙종7년 (1681년)에  부사  오도일이 창건하였으며   유일하게

                        단청을  하지 않은  건물이다.

 

 

 

                           

 

 

 

                         단청을 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는  잘  모르지만   내 눈에는

                         당시의  관리들의 검소한  생활을  보는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멀리로  보이는 망월산성을  줌으로  당겨서 찍어 보았다.

                           지방기념물 93호로  495미터의  작은성이다.

                           통일신라나   삼국시대 때  축성하지 않았을까  추측되고 있다고 한다.

 

 

 

 

 

 

 

 

 

 

 

 

                            여래입상이다.

                        청풍읍  읍리  대광사  입구에  있던 높이 341센티미터의 거대한

                        부처님 상으로  보물 546호이다.

                        신라말이나  고려초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

 

 

 

                         수산 지곡리 고가

                      지방유형문화재89로  안채, 사랑채,  행랑체가  구분된  ㅁ 자형의

                      집이다.

                      이 집을  돌아가면서 찍었는데  사진이  너무  흐려서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게되어  유감.....

 

                          아무리  긴  초여름 해라지만  아침에  출발해서  의림지를  둘러보고

                          제천장에도  갔다가  청풍호 유람선도  타고  했드니   이곳  청풍문화재단지에

                          왔을  때는  저녁무렵이었다.

                          그래서  수몰역사관과  유물전시관을  못  둘러보고  돌아간다.  그곳을 봤으면

                          더 생생하게  선조들의  살아 온  자취를  더듬어 볼수  있었을텐데....

 

'아름다운 우리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기장날  (0) 2015.09.25
의림지의 초여름  (0) 2015.09.25
청풍호 유람선을 타고  (0) 2015.09.25
휴휴암, 속초여행 5  (0) 2015.09.23
60년전의 사람들은 간곳도 없고  (0) 201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