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후의 여름별장으로 더 유명한 이화원은 중국에서 보존이 가장 잘되고 규모가
가장 큰 황실 정원이다.
총면적 267 ha 로 곤명호라는 인공못이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인공호를
만들적에 파낸 흙으로 만든 60 m 높이의 만수산이라는 인공산이 있다.
금나라 때인 12세기 초에 처음 조성되어 황제궁이었다가 1750년 청나라 건륭제때
대폭확장 되었다.
1860 년 2차 아편전쟁(에로호사건) 으로 형편없이 파괴된것을 1888 년 당시 실권자이던
서태후가 재건했다고 한다.

서태후는 이곳 수리를 할때 해군의 군함건조비를 유용해서 이 비용 때문에
청일전쟁에 패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막대한 재정을 쏟아 부었다고 한다.

서태후는 원래 이름은 난아로
1835 년 하급관리의 딸로 태어나 17세에 궁녀가 되어 함풍제의 사랑을 독차지
하여 아들 동치제를 낳고, 서태후의 자리에 까지 오른 여인이다.
함풍제에게는 이미 태후가 있어서 동태후와 서태후로 불리우게 되었다고 한다.

정문인 동궁문이다.

이화원 매표소

곤명호가 눈 앞에 펼쳐진다. 한마디로 넓다.

불향각, 만수산 위에 우뚝 자리잡고 있는 이 건물은 이화원들 대표하는 상징적
건물이다. 8각형의 3층으로 높이 41미터의 불전이다.

이 곤명호는 이화원의 4분의 3을 차지하며 2,2 평방킬로미터에 달한다.

꼭 우리나라의 해태상 같이 보인다. 무얼까?

영지모양과 비슷한 돌, 밑의 설명에 의하면 중국 최대의 원림지석이라고 한다.



낙수당, 서태후가 살던 곳이다.
원래는 건륭제가 모후를 모시고 곤명호의 절경을 즐기던 곳 이었지만 서태후의 침궁으로
개조되어 서태후 말년의 일상활동과 식사를 했던곳이며 중국 최초로 전기가
들어 온 곳이라고 한다.



서태후는 함풍제의 사후 아들인 동치제가 즉위하자 모후로서 섭정이 된,
야심과 권세욕이 강한 여자로 젊어지고 싶은 욕심에 막 출산한 여인의 모유도
먹고 전용장미꽃을 재배하여 립스틱에 장미즙을 사용하기도 해서 나이 보다
젊어 보였다고 한다.

이곳은 서태후가 고민이 있을때 마다 걸었다는 728 미터의 긴 복도다.




우리와는 많이 다른 이화원의 건물들

긴 계단을 올라가서 만난 건물,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다.

뱃놀이를 할수 있는 곳인가 보다.
여행사를 따라오지 않고 자유롭게 왔더라면 저 배를 타고 천천히 곤명호를
즐겨볼텐데.....아쉽다.

이화원에도 다른곳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많다. 이화원의 북쪽 문.

그리고 다른곳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운동인지 춤인지를 추고 있다.
이화원 가는 날은 날씨가 맑아서 좋았다.
그러나 여행사를 따라 온 여행, 더우기 단체여행이다 보니 제대로
즐길수도 볼수도 없고 그저 가이드의 깃발 따라다니기에만 급급해서
아쉬운 점이 너무 많다.
곤명호에서 뱃놀이도 해보고 싶고 건물안으로도 들어가 보고 싶었는데
가이드는 우리들을 수박겉핥기식의 구경밖에 시켜주지 않는다.
만약에 기회가 주어진다면 자유여행으로 그냥 꼭 한번 와보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