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우리강산

글 읽는 소리가 들리는 개실마을, 남도여행 (3)

by 데레사^^ 2015. 9. 29.

 

 

글 읽는 소리가 들리는 개실마을, 남도여행(3)    2012/04/21 04:47

 

http://blog.chosun.com/ohokja1940/6347375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여행을  하다보면  예정에  없던 곳을  더러 들리게 된다.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1리의  개실마을은  지나가다  간판이  눈에 띄어

                      우연히  들려 본 곳이다.

                      조선 중엽 무오사화때  화를  입은  점필재 김종직의  후손이  사는  마을,

                      선산 김씨의 집성촌인  이 곳은  김종직의  종택이  있으며 농촌체험 마을로서

                      꽤  알려진  곳이다.

 

                      마을입구  안내소에서  안내를  받아  김종직의  종택으로  들어가자  한낮인데도

                      몇명이   글을  읽고  있었다.  소리를  높혀  장단을  맞추듯이  글을  읽고

                      있는  모습에서  옛 선비의  체취가  느껴졌다.   마음 같아서는  무슨   책을

                      읽고  계시느냐고  묻고 싶었지만   집을  둘러보는것도  황공한 일인데  말까지

                      붙이며  귀찮게 굴기  싫어서  그냥  지나치고 말았다.

 

 

 

 

 

 

 

 

                           마을은  역사깊은  고택인  기와집들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앞으로는 소하천이 흐르며  마을 뒤 화개산은 봄이면  진달래꽃이

                           만발하는  농촌정취가 물씬  풍기는  이 마을에서는  하천변 생태관찰과

                           가재잡기, 썰매타기, 물놀이를  할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이 활짝  열린  이 집이  김종직의  종택이다.

                           김종직의 5대손이  1650년경  이 마을로  피신 와서  은거중  꽃이피고

                           아름다운 마을이라  개화실(開花室)이라고  이름  붙였던 것이 세월을  거듭하면서

                           음이 변하여  개실이 되었다고  한다.

                          

                           저 마루위에  앉아 계시는 분과  안에 계시는 분들이  함께 글을  소리내어

                           읽고  있었다.

 

 

 

 

 

 

 

 

 

 

 

 

 

                             이곳은  짐작컨데  사당이나 위패를  모신곳이 아닐런지?

 

 

 

 

 

 

 

 

 

                      점필재 김종직은

                      본관은  선산, 자는 계온 또는  효관, 호는 점필재,  시호는  문충이다.

                      1431년(세종13년)  밀양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로 부터 길재의 성리학을 이어받아

                      훗날  영남학파의  종조에 이르게 되었다.

                      종직은  어릴때 부터  총명하여  날마다 수십자씩  기억해 갔다고 한다.

                      소학을  학문의 기초로 삼고  어릴 때 부터  시를  잘  지어 이름을 떨쳤다.

                      경기, 강원, 전라 3도의 관찰사,  한성좌윤, 형조판서, 홍문관제학, 성균관사를

                      거쳐 1488년 ( 성종20년) 에   59세에 병환으로  고향에 내려갔다.

                      성종은  여러차례   올라오도록 하였으나  끝내 응하지 않고 고향에 머물렀다.

                      저서로는  유두유록, 청구풍아, 등이 전해져  오고 있으며   그를  기리는 서원

                      으로는  밀양  예림서원,  선산 금오서원등이  있다   (마을 안내문에서 발췌)

 

 

 

 

 

 

                     김종직의 일생을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을은  비교적  조용하고  아늑한게  고향을  찾은것  같은  마음이 든다.

 

 

 

 

 

 

 

 

 

 

 

 

 

 

 

 

                           도연재의  모습

 

 

 

 

 

 

 

 

 

                            마을 체험 프로그램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만들기체험:    대나무물총, 소리통, 연만들기, 짚공예, 비누, 압화, 야생화화분

                            전통음식체험:  엿만들기, 유과만들기, 국수만들기, 두부만들기

                            전통교육체험:  예절교육, 전통차 다도체험, 칠첩반상계 받아보기

                            농사체험:      딸기수확, 고구마수확, 옥수수,  모내기

                            민속놀이체험:  그네뛰기, 디딜방아, 굴렁쇠, 윷놀이, 짱치기, 제기차기,

                                           외줄타기

                            자연체험:      미꾸라지잡기, 얼음썰매타기, 야생화관찰, 싸움소관람,

                                           동물농장,  야생화 화분만들기 

 

                            한옥 민박집도  여러채 있으며  054-956-4022 가  마을대표 전화번호다.

 

                            여름방학 때  아이들이 있는 집은  이런 곳에서  한번쯤  체험을  시켰으면

                            좋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