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시리(槐市) 전통마을은 영양 남씨 괴시파의 오랜 거주지이다.
마을 북쪽에 호지(濠池) 가 있어 호지촌이라 불리다가 목은 이색선생
(1328-1396) 이 원나라에서 문장으로 이름을 떨치고 돌아 올 때 들른
중국의 구양박사방(毆陽博士坊) 의 괴시마을이 자신이 태어 난 이곳
호지촌과 비슷하다고 해서 고친 이름이라고 전해 오고 있다.
숙소에서 고래불다리를 건너서 오른쪽 길로 들어서니 바로 괴시마을이
보인다.
언니는 이곳에서도 자동차에서 내릴려고 하질 않는다. 그렇다고 이 마을을
그냥 지나칠 수도 없어서 5분안에 돌아오겠다고 하고는 내려서 그야말로
번개불에 콩구워먹듯 마을을 돌아 본다.

연꽃이 피면 마을이 더 아름다울것 같다. 마을 입구에 연이 심어져
있지만 꽃은 아직 아니 피었다.

붉은 황톳길과 황토로 된 담이 이 마을이 역사와 전통의 마을이라는걸
증명이라도 하듯 이어져 있고 동네는 조용하다. 마치 사람이 살지
않는 마을같이.


마을 입구에 세워 진 이정표다. 목은 이색선생이 태어 난 곳이라
이색등산로도 있고 생가도 있는것 같은데 둘러 볼 마음의 여유가
없다.
언니를 자동차에 앉혀 놓고 유유자적 돌아다닐 수도 없고 마음도
몸도 바쁘게 입구만 대강 둘러 본다.


목은 이색의 탄생지이기도 한 이 마을에서는 2003 년 부터
2년에 한번씩 목은문화제가 열린다고 하며 30여호의 옛 전통가옥들은
200여년전에 지어진 집들로 "ㅁ" 자형의 구조다.
조선 양반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탐방객
들이 많은 마을이라는데 더워서인지 우리가 갔을때는 한가했다.


마을 입구에서 처음 만난 영해 구계댁이란 곳들 들렸다.

주인 아주머니가 일하다 말고 잠깐 쉬고 있어서 인사를 하고
말을 건네 보았다. 이런 전통집을 유지하고 살면서 일일히 구경 오는
사람들에게 집보여 주기가 어렵지 않느냐고...
그 물음에 답도 없이 그냥 빙그레 웃기만 한다.

집 안 마당과 굴뚝, 그리고 항아리들이 그냥 아무렇게나 놓여져 있다.


마음이 급하다 보니 그냥 대충 지나치면서 카메라를 눌러댔기 때문에
어디가 어딘지 설명을 할수 없다.



이 집은 대문이 굳게 닫혀 있어서 담 너머로 집안을 한번 들여다 보았다.
집이 다른 집 보다 크다.



마당도 아주 잘 가꾸어져 있다. 대문이 닫혀 있어 들어가 보지는 못했어도
담이 낮아서 내 키로도 담 안의 풍경이 다 보인다.

안동의 묵계나 소산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마을 괴시리,
흡사 작은 안동처럼 보이기도 한다.



대남댁 역시 대문이 닫혀 있었지만 밖에서도 안이 다 보인다.



아쉬워서 다시 한번 돌아 본 마을 전경이다.
헐레벌떡 마을을 입구에서만 보고 자동차로 돌아 왔다.
빨리 영덕읍내로 들어가야만 한다. 언니가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찾으러.
60년전의 그 사람들이 그때 그 동네에 한분이라도 살고 계셨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