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 6, 30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조선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 묘가 64기다. 무덤은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은 왕과 왕비, 원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을 말하고 그 외 왕족의 무덤은 묘라고 한다.
(이 설명은 영릉 안내도를 참고함 )

이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 태조의 원비 신의왕후)과
후릉(정종과 정인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가 남한에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것은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한다.

이포보에서 돌아오면서 영릉 (英陵)을 지나칠수가 없어서 늦은 시간인데도
들려 보았다. 저녁 6시면 문을 닫기 때문에 우리가 도착한 시간이
저녁때라 나란히 있는 효종의 영릉(寧陵)은 들리지를 못했다.

세종대왕의 영릉은 들어가는 입구에 당시의 발명품들이 모형으로 쭈욱
진열되어 있었다.

세종대왕 상
언문은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한 것이다. 너희들이 설총은 옳다하면서
군상(君上)이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것은 무엇이냐, 또 네가 운서를
아느냐, 사성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느냐? 만일 내가 그 운서를
바로 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 잡을것이냐!" (세종실록에서)
어디선가 훈민정음을 반대하여 상소를 올린 최만리를 꾸짖는 음성이
들리는것만 같다.

조선왕릉은 죽은자가 머무는 능침공간과 죽은자와 산자가 함께 하는
제향공간,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진입공간 으로 나누어져 있다.


조선왕를 어디나 큰 소나무가 많듯 이 곳 역시 소나무들이 아주
많아서 솔바람이 뿜어내는 향기가 신선하다.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홍살문

이 곳이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합장릉이다.
이는 조선왕릉 최초의 합장릉이다.

처음에 세종대왕의 릉은 헌릉(태종의 능) 서쪽에 있던것을 후에 여주로
옮겼다고 한다.

능침에서 내려다 본 정자각, 이곳은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분명 안내판은 효종대왕릉 가는길이라고 되어 있는데 따라 가 보니
철조망으로 길이 막혀 있었다. 그래서 못 가봤다.


날도 어두워지고 하루에 많은곳을 다녔드니 피곤하기도 해서 그만
효종대왕의 영릉은 포기를 하고 집으로 향했다.
사전에 예약(031-887-2868) 하면 문화해설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언제나
무작정 집을 나와 내키는대로 다니다 보니 이렇게 엉성하게 관람을
하게 되어서 좀 아쉽긴 하다.

세종대왕의 영릉을 참배하면서 한석규가 분했던 드라마 세종에서 욕을
잘하던 세종의 모습이 자꾸만 떠올랐다.
실제로 그런 인물이었는지는 알수가 없지만 한편의 드라마가 끼친 영향이
참으로 크다는것을 느끼며 사극은 많은 고증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나름대로의
생각도 해보고....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하지 않으셨다면 지금 이 포슽은 어떤 글로
작성하고 있을까?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임금 세종대왕, 백성을 사랑하는 열정과
정열이 키운 자신감으로 많은 반대를 무릎쓰고 한글을 창제하여 반포하신
세종대왕릉에서 마음으로 우러나는 절을 올렸다.
참고로 이 곳은 여주터미널에서 버스가 있으며 관람료는 500 원으로
아주 저렴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