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강산

명성황후 생가와 감고당을 찾아

데레사^^ 2015. 9. 29. 13:55

 

 

명성황후 생가와 감고당을 찾아    2012/03/22 07:29

 

http://blog.chosun.com/ohokja1940/6286161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입춘도  지나고  춘분도  지나서  절기상으로는  봄이라지만  아직도  바람은 쌀쌀

                  하고  근처에서는  꽃소식이   없다.

                  겨울내내  집안에만  있었드니  갑갑하기도  해서  바람이 불고  날씨가   차거나

                  말거나  여주쪽으로나   한번  다녀올까  하고  길을  나섰다.

                  남한강을  따라  즐기는  여주여행,  여주는  가까우면서도  볼거리가  많은 곳이다.

                  여주 IC 를  나가자  마자  가장  가까운  곳,  명성황후  생가와   감고당 부터 먼저

                  찾아 갔다. 

 

 

 

                     감고당,  이 곳은  조선의  두 왕비가  거쳐 간  곳이다.

                     명성황후 (1851-1895) 가 8세때  왕비로 간택되어  책봉되기 전 까지  이곳에서

                     머물렀으며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1667-1701) 가  장희빈에게  쫓겨 왕비에서

                     물러난 후  거처했던  곳으로   원래는  종로  덕성여고 본관 서쪽에  있었던 것을

                     1966년  쌍문동으로  이전하였다가  그곳도  도시계획으로  철거하게  되자

                     2006 년에  명성황후생가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이곳으로  옮겨  증축되었으며

                     앞으로  전통문화 체험장소로  활용하리라고  한다.

 

 

 

 

                     대문 들어가는 곳이  좀  특이하다.  앞이  저렇게  가리워져  있고   그 옆으로

                     들어 가게끔  되어 있는것이  보통  보던  대문과는  다르다.

 

 

 

 

                       감고당의  안채.

                       몸채,  또는  내당으로  불리는  이 곳은  주인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공간으로  대문에서  가장  안 쪽에  있다.

 

 

 

 

                      감고당의 행랑채

                      대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으며  신분이 낮은  머슴들이  기거하며

                      농한기에는  새끼도  꼬고  가마니도 짜던 곳이다.

 

 

 

 

                           감고당의 사랑채

                           남자주인과  귀한 손님들이 머물던 곳으로  행랑채와  중문 사이에 있으며

                           사대부 남자들이 모여서  열띤토론도  하고  시를 짓고  악기를  연주하던

                           수준 높은  문화생활  공간이다.

 

 

 

 

 

 

 

 

 

                     멀리서  본  감고당  전경

                     감고당을  나와  민가마을을  지나  명성황후 생가,  그리고  명성황후 기념관이

                     모두  한  곳에  모여 있으며  입장료  한번으로   다 볼수  있다.

 

                     입장료는  어른 1,000원,  중고생 700원,  어린이 500원,  6세이하와  경로는

                     무료로  아주 싸다.

 

 

 

 

                       민가마을로  조선후기  취락의 모습을  재현하였으며  기념품 판매점과

                       전통음식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곳이 명성황후의   생가다.

                      조선  26 대  고종의  왕비였던  명성황후가   태어나서 8세 때 까지 살았던

                      집이다.

 

 

 

                      명성황후의  생가는  원래는  명성황후의 6대 조부인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묘막이었다고  한다.

                      민유중의  직계후손인  민치록은  조상의 묘를  관리하며  이 곳에서  살다가

                      부인 한산 이씨와의 사이에서  명성황후를  낳았다.

 

 

 

 

                       그야말로  파란만장 했던   명성황후,   나는 조선의 국모다 라고  코미디에서

                       회자될만큼  힘들게  살다 간  명성황후에  대해서는  워낙  많이  논의되었으니까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매년  10월 8일  시해일에는  다채로운  추모행사가  이곳에서  열린다고 한다.

 

 

 

 

 

 

 

 

                     이 곳은  별채로  명성황후가  어릴때  이 곳에서  글을  읽고  글씨를  쓴

                     곳이라고  한다.

 

 

 

 

 

 

 

 

 

                             대문 바깥에  있는  명성황후 탄강 구리비

                             명성황후가  태어나신  옛마을  이란  뜻이다.

 

 

 

 

                            이 글씨는  명성황후의 아들이며  조선의 마지막  왕이었던  순종의

                            친필이라고  한다.

 

 

 

 

 

 

 

 

 

 

 

                              인현왕후의 아버지인  민유중의  신도비는  명성황후의 탄강구리비  바로

                              옆에  있다.

 

 

 

 

 

 

 

                      생가 건너쪽에  있는  명성황후 기념관으로  명성황후의  친필과 서가집,

                      고종의 영정등을  비롯한  관련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지만  이 곳은  사진찰영

                      금지구역이다.

 

                      여주나들이는  이곳에서 부터 시작하여  목아불교박물관, 신륵사, 이포보, 영릉을

                      돌아  여주아울렛에서  운동화까지  한켤레 사고  돌아왔는데도  어느새   해가

                      길어져서  그리 늦지는  않았다.

 

                      하루의  일정으로  돌아봐도  부족하지 않는  여주나들이,  모처럼  콧바람을

                      쐬고  왔드니  마음조차  맑아지는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