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사로 오르는 길은 가을빛이 곱다. 찾는 사람들이 많아서 왁자지껄한
분위기지만 빨갛게 노랗게 물든 단풍에 취하다 보면 아무소리도 들려오지
않는 고즈넉함에 빠지게 된다.
강화에 와서 전등사를 안 보고 갈수야 없지. 호국의 현장을 보고, 역사의
곳에도 가보고 마지막으로 전등사를 찾았다.

전등사를 찾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 보니 사진 찍기도 쉽지가 않았다.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절까지 걸어가는 길, 흙길이라 내딛는 발의
감촉도 좋고 공기도 맑고 시원하다.

삼랑성의 동문, 일명 정족산성이라고도 부르는 이 산성은 쌓은 연대가
확실하지는 않지만 단군이 세 아들에게 성을 쌓게 하고 이름을 삼랑성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고 안내판에 써 있다.

병인양요(1866년) 때 프랑스함대를 물리친 양헌수 장군의 승전비다.
이 비석에는 양헌수 장군을 비롯, 367명의 병사들이 프랑스 군대를 맞아
활약한 당시 상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고 하지만 철책으로 둘러쌓여
있어서 보이지는 않았다.

이렇게 전등사로 오르는 길에도 우리 역사의 자취가 군데 군데 숨어있다.
강화땅은 지붕없는 박물관이라는 말이 딱 맞다.


대웅전



절을 짓던 목수의 사랑을 배반하고 도망친 여인의 조각이 추녀를
떠받치고 있다. 정면 오른쪽의 조각이다.

정면 왼쪽의 조각이다. 벌을 주는 방법도 참 독특하고 재미있다.

대웅전 안에 모셔진 삼존불

대조루



이 종은 송나라때 회주 숭명사에서 만든 중국종으로 2차대전시
일본군이 병기를 만들려고 부평병기창에 가져다 놓은것을 광복 후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함.







절 마당에 이렇게 나무로 만들은 부처상이 많이 보인다.


절 마당에서 내려 다 본 강화바다


전등사는 오르는 길이 별로 멀지도 않고 높지도 않아서 찾기에 참 편하다.
봄에는 벚꽃이 곱고 가을에는 마니산의 단풍이 곱다.
절 앞에는 분위기로 마시는 예쁜 전통찻집이 있어서 절구경을 하고 나오다
들려서 쉬고 올수도 있고... 가을이 짙어가는 전등사에서 하루쯤 묵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