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구례, 지리산 밑이다 보니 절이 많은 곳이다. 그러나 구례에 오면
천은사나 화엄사를 찾기만 했지 사성암은 이름도 못 들어 본 곳이다.
친구들과 함께 여행사 차를 타고 일일여행을 떠나서 만난 절, 사성암은
해발 500 미터의 오산에 있는 암자로 고승들이 수도하던 곳으로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바위사이 암벽에 아슬아슬하게 얹혀 있다.

관악산의 연주대처럼 하늘과 벼랑사이에 걸려 있는 절, 약사전과 지장전의
두 암자, 이곳에서는 토지와 추노가 찰영되었다고 한다.


약사전의 모습이다.
카메라도 솜씨도 별로여서 이렇게밖에 표현못했지만 실제로 쳐다보면
아득한 높이이다.

약사전을 좀 더 크게 찍어 본 모습

큰 기둥이 밑으로 세워져 있고 건물은 겨우 벼랑끝에 걸려 있다.


오른쪽의 약사전부터 먼저 올라 가 보기로 했다.

올라가는 길이 아주 가파르다.


가이드는 우리에게 이곳에서의 시간을 한 시간을 주었다.
한시간 안에 저 벼랑끝에 있는 약사전과 지장전을 돌아 나올려면
바삐 움직이지 않으면 안된다.

가을이 오고 있는 약사전을 음미할 시간도 없이 발 빠르게 움직일려니
숨이 턱에 찬다.


약사전 안 부처님.
작은 금불상 뒤로 마애여래 입상이 보인다.
약사발을 들고 있는 마애여래입상, 법당 안으로 들어 가서 사진을 찍을수가
없어서 멀리서 찍었드니 이렇게 밖에 보이질 않는다.

약사전에서 내려 다 본 풍경이다. 섬진강이 흘러가고 구례들판이 한 눈에
들어 온다.



약사전을 바쁘게 내려 왔다.


친구들 일곱명이 함께 갔는데 네명은 다리가 아프다고 밑에 있겠다고
해서 셋이서만 올라갔는데 위에서 내려다 보니 친구들이 저곳에서
다리 쉼을 하고 있었다.
버스를 타고 절 입구에 와서 3,000 원을 내고 셔틀버스를 타고 꼬불
꼬불한 산 길을 20여분 달려오고, 셔틀에서 내려서도 절까지 한참을
걸어서 올라왔으니 다리가 아플밖에....

수령 800 년의 귀목나무

지장전을 올라가다가 숨을 멈추고 내려 다 본 구례들판에는 아직
추수를 하지 않은 벼가 누렇게 익어서 그야말로 황금들판이다.



소원을 적은 기왓장과 나무패들
저 분들의 소원이 다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지장전은 측면밖에 찍을수가 없었다. 절 마당이 없으니 어디 설데가
있어야지...

지장전 안의 부처님


버스에서 내려서 3,000 원을 내고 탔던 사성암 가는 셔틀이다.
처음에는 좀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차를 타고 보니 길이 얼마나
험하고 가파른지 그저 고마운 생각만 들었다.
구례의 차들은 자연으로 가는 길 구례 를 서붙이고 다니고 있다.

39,000 을 내고 타 본 여행사의 일일코스 중 나온 점심이다.
가이드의 말로는 구례읍내에서는 맛좋기로 소문난 집이라고 한다. 특징은
비빔밥에 얹어주는 소고기가 육회라고 했는데 배가 고파서 허겁지겁 먹느라
고기가 익은것인지 날것인지는 기억에도 없다.

죽기전에 봐야 할 100 대 절 중의 한곳, 사성암은 찾아가는 길이
쉽지는 않다.
자가용으로는 가기가 힘든 코스이며 한가지 불편한 점은 절에 마당이
없기 때문에 화장실이 없다는 점이다. 주차장까지 내려와야만 화장실이 있다.
우리는 여행사 차를 타고 갔기 때문에 주차장까지는 버스로 갔고
주차장에서 절까지는 20여분을 셔틀버스를 타고 흔들리며 올라갔고
그 셔틀버스에서 내려서도 한참을 가파른 길을 걸어서 올라 갔었다.
그러니 다리가 아픈 사람은 가기가 어렵다.
하늘과 벼랑 사이에 걸린듯이 아슬아슬하게 얹혀 있는 사성암, 아직은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인지 찾아오는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은 모양이다.
그러나 그 경치는 숨이 막힐 정도로 아름다운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