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연정 (洗然亭)은 고산 윤선도가 어부사시사를 창작하고 읊었던 곳이다.
윤선도(1587- 1671)는 51세때 처음으로 보길도에 왔다가 85세에 돌아가실 때 까지
7차례나 드나들었으며 13년간이나 생활했던 곳으로 여기 세연정을 비롯하여
고산의 주된 주거공간이었던 낙서재, 경관이 아름다운 동천석실, 고산의 아들
학관의 휴식처였던 곡수당등 그의 발자취가 머문 곳이 많다.
세연정에는 두 개의 못이 있으며 세연이란 주변경관이 매우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지는 곳이란 뜻으로 주로 연회와 유희의 장소였다.

세연정의 정자



어리연이 한 두 송이 드문 드문 피어있는 못
여기서 고산 윤선도는 어부사시사를 창작했으며 못에 배를 띄우고
연회를 즐기며 시를 읊었다고 한다.


13년전쯤에 이곳을 찾았을 때는 세연정이 많이 황폐해 있어서 안타까웠었는데
지금은 정비가 되어 있어서 좋다.
그러나 사람이 너무 많아 오붓하게 즐기고 감상하기는 어렵고 그저 인파에
밀리면서 한바퀴 돌아 볼수밖에 없다.





65 세의 고산 윤선도는 이곳에서 어부사시사 40 수를 창작했으며
1671년 6월 11일 85세로 보길도의 낙서재에서 세상을 뜨시고 해남군
현산면 문소동 금쇄산성하에 묻히셨다.

어부 사시사
고산 윤선도
봄노래 앞개에 안개 걷고 뒤산에 해비친다
배 띄워라 배 띄워라
썰물은 물러가고 밀물이 밀려온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강촌의 온갖 꽃이 먼 빛이 더욱 좋다
여름노래 궂은 비 멈춰 가고 시냇물이 맑아온다
배 띄워라 배 띄워라
낚시대를 둘러 메니 깊은 흥이 절로 난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산수의 경개를 그 누가 그려 낸고
가을노래 물외에 좋은 일이 어부생애 아니던가
배 띄워라 배 띄워라
어옹을 웃지 마라 그림마다 그렸더라
사철 흥취 한가지나 가을 강이 제일 좋아
겨울노래 구름 걷은 후에 햇볕이 두터웠다
배 띄워라 배 띄워라
천지가 막혔으니 바다만은 여전하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한 없는 물결이 깁을 편 듯 고요하다
(이 어부사시사는 1651년 (효종2년) 고산 윤선도가 65 세때 지은 작품으로
봄 10수, 여름10수, 가을10수, 겨울10수 중 각 첫 수를 골라 수록한 것이다)



혹약암을 다른 각도에서 찍은 것이다.



사투암을 다른 각도에서 찍은 것이다.



세연정을 한바퀴 돌고 나니 몸에 땀이 비오듯 흐른다. 마음 같아서는
세연정 정자에서 어부사시사나 한번 읊어보고 싶은데 사람이 너무 많다.
그래서 한바퀴 얼른 돌고 나와 버렸다.

이곳은 부용동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경관이 아름다운 곳으로 고산 윤선도가
특히 사랑하여 부용동 제일의 명승이라 했던 곳이다.
날씨도 너무 덥고 돌아가는 배편이 걱정되어서 올라 가 보지는 않았다.
지나가면서 길가에서 한번 쳐다보고 사진 한장 찍고....


7,000원짜리 점심

도로를 달리다 보면 별별 차를 다 만난다. 이 사진은 보길도와는 아무
관련이 없지만 고속도로에서 바로 앞에 가던 차인데 긴급출동이라는 팻말로
번호판을 가려버린게 하 수상하여....
자동차 번호판을 저렇게 가려놓고 뭘 하겠다는 건지 모르겠다.
보길도를 꿈결같이 다녀왔다.
한여름의 주말, 길도 붐비고 배도 붐비고 섬도 붐볐다. 언제고 동백꽃이
필 무렵 한번 더 와야지.. 그때는 반드시 주말을 피해 오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