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 가는 뱃길이 많이 수월해졌다. 옛날에는 땅끝이나 완도에서 배를 타면
두시간 이상 걸렸는데 지금은 중간섬인 노화도에서 보길도까지 다리가 놓여서
30분 정도만 배를 타고 노화도에 내려서 자동차로 보길도로 들어가면 되니까
뱃길은 아주 편해졌다.
그러나 한여름의 보길도 가기가 얼마나 힘드는지.....
피서철, 그것도 주말에 보길도를 가겠다고 나선 자체가 잘못이긴 하지만
어째서 배편이 예약이 안되는지 오는대로 줄을 세워서 타게 하니까 너무
너무 힘들었다.

아무래도 땅끝쪽이 사람들이 많이 몰릴것 같아서 완도의 화흥포항으로 갔다.
우리가 도착한 시간이 오후 3시쯤, 자동차는 완도대교를 건너면서 부터 밀리기
시작했다.
도저히 표를 살수도 없고, 또 운이 좋아서 마지막 배를 탄다고 해도 나올수도
없고, 보길도에서는 숙박하기도 쉽지 않다고 해서 다시 차를 돌려서 해남쪽으로
나오면서 내일 배를 예약을 할려고 하니 보길도행은 예약이라는게 아예 없다고
내일 다시 와서 줄을 서라는 대답이다. 세상에 예약이 안되는 곳이 있다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다.

해남에서 자고 새벽같이 다시 완도의 화흥포항으로 갔다.
아침 7시, 아침에는 어제 보다는 사람이 훨씬 적어서 우리는 첫 배에
자동차와 함께 오를 수 있었다.

화흥포 항의 노점에서는 피서철이라 그런지 모자를 태산같이 쌓아놓고
팔고 있었다.

화흥포 항에서 배에 실리기를 기다리는 자동차 행렬

하늘이 맑지는 않다. 그러나 비만 내리지 않으면 흐린날이 여행하기에는
더 좋다.

드디어 우리를 태우고 갈 배가 도착했다.

화흥포 항에서 배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사람도 타고, 자동차도 타고.....

하늘이 조금씩 벗겨지기 시작한다.
어슴프레 들어나는 완도 앞 바다는 온통 양식장이다.
김과 미역일까?


스쳐 지나가는 배를 찍어봤다. 우리가 탄 배도 이와 같이 생겼을테지...

멀어져 가는 화흥포 항.
여기서 노화도까지는 30분이면 된다고 한다.




끝없이 이어지는 양식장


이건 무엇일까? 등대일까? 외롭게 바다 가운데 홀로 우뚝 서 있는것이
내 눈에는 등대처럼 보이긴 하는데....




노화도와 보길도를 잇는 다리, 보길대교다.
완도의 화흥포항에서 배를 타고 30분쯤 달려서 배를 내린후 자동차로
해안길을 달려 보길도로 넘어가는 보길대교까지 왔다.
붉은 아취형의 다리, 아주 멋있다.

보길대교를 건너서자 산밑으로 전형적인 농촌마을이 보이기 시작한다.

마을이 산뜻하고 깨끗해 보인다. 지나가는 마을에는 벽화를 그려놓은
동네도 보이고 동백나무가 많이 보인다.
이 섬에 동백꽃이 필때 오면 아주 아름다울거다.

자동차의 유리창 너머로 본 보길도 앞바다의 전복 양식장
이 양식장들이 이번 태풍 무이파로 초토화 되었다는 뉴스를 봤다.
해변가로 떠밀려 온 전복을 한마리라도 건질려고 애를 쓰는 어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
내가 이럴진데 애지중지 길른 어민들의 마음이야 말할수도 없겠지...
절망을 딛고 다시 어업에 종사할수 있도록 모든 편의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보길도의 바다는 바깥바다 (외해) 와 연접되어 조류 소통이 원할하고
영양염류 공급이 풍부하여 다른 지역 수산물에 비해 맛이 우수하다고 했는데
모두가 씻겨 내려가 버렸으니 태풍이 야속하기만 하다.
환상의 섬 보길도는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등 우리나라 국문학 사상 주옥같은 시를 남긴곳으로
조선 숙종때는 우암 송시열이 제주도 귀양을 가다 머무른 곳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뛰어난 자연환경을 갖고 있어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곳이다.
10년도 훨씬전에 땅끝에서 배를 타고 보길도를 다녀간 적이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섬마을은 그다지 변한것 같지는 않은데 뱃길이 아주 많이 편해졌다.
언제가 될려는지는 모르지만 완도에서 노화도까지도 다리가 놓인다면 보길도도
육지가 되겠지...
보길도의 어민들에게 힘내시라는 말이라도 전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