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강산

축산항의 해넘이와 영덕대게, 불루로드 따라 1

데레사^^ 2015. 9. 23. 21:32

 

 

축산항의 해넘이와 영덕대게, 불루로드 따라 (1)    2011/07/02 07:10

http://blog.chosun.com/ohokja1940/566402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영덕의 강구항에서  부터  우리가  숙소로  정한  고래불 해수욕장 까지

                        50 킬로의  길이  도보여행을  위해  조성된  불루로드 다.

                        삼척의 관동대로와  더불어  동해안의 절경을  즐기기에   아주  좋은 길,

                        이 길에는  풍력발전소,  축산항, 괴시리전통마을,  대진항, 해맞이공원,

'                       삼사해상공원등   정말  볼거리가  많다.

 

                        언니와 함께 한  이번  여행은  명소를  찾는  여행이  아니고  옛 친구, 친척들을

                        찾아보는  여행이기도  하고  여든에  가까운  언니가  잘  걷지도  못해서 걸어

                        볼  생각은  해보지도  못한채   우리는  거꾸로  고래불  해수욕장에서  부터

                        강구항 까지  자동차길로  돌아 보았다.

 

 

 

                         주산지에서 나와   험한  산길을  꼬불꼬불  돌아   고래불 해수욕장   부근

                         영덕경찰수련원에   짐을  풀어놓고   저녁도  먹을겸  나서  본   바닷길,

                         처음에  들린곳이  대진항이다.

 

 

 

 

                             대진항  부근에는  대진 해수욕장도  있지만  이상하게도  모든것에

                             관심이  없어진  언니와  함께 한  길이라  그냥   저녁 먹을 곳을  찾아

                             위선  대진항에  들려  보았다.

 

 

 

 

 

 

 

 

 

 

 

 

 

 

                          여기 대진항뿐만  아니라   사실  불루로드  길은  어디를  가도   대게의

                          선전물이  요란하다고  할  정도로  많이  보인다.

                          음식점마다   대게사진  아니면  조형물,   포구마다   대게 원조마을...

                          이런식으로  대게로  시작해서  대게로  끝나는   그런  분위기다.

 

 

 

 

 

 

 

 

 

                           이 곳  공원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아저씨  한분에게  물어 보았다.

                           지금  대게를  먹을수  있느냐고?

                           그 아저씨의  대답은   "

                       대게잡이는  5월말에 끝났기  때문에  지금 음식점의  대게는  그전에

                       사서  냉동 해 두었거나   수족관에  넣어둔것뿐이라고 "

                     

 

 

                        그래서 혹시  뭐  다른 먹을거리가  없을까  싶어서  대진항을   나와서  조금

                        더 달려서  축산항으로  왔다.

 

 

 

 

                       아침 9시에   집을  출발해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를  지나  어디쯤에선지

                       잊어버렸지만  국도로  나와   주산지에  들렸다가    여기  왔으니  어느새

                       축산항에는  해가  넘어가고  있다.

 

 

 

 

                              동해의  해넘이는  서해와  달리  산으로  넘어가고  있다.

                              서해처럼   바다로  해가  넘어가면  노을이  장관일텐데....

 

 

 

 

 

 

 

 

 

                           해 같기도 하고  달  같기도  하고....

 

 

 

 

 

 

 

 

 

                           축산항의  해넘이를   보고  아무래도  저녁을  먹어야 겠기에   등대가

                           있는쪽 까지  왔다.

 

 

 

 

                           동해바다가   한 눈에 들어오는  음식점,   아무래도  영덕까지  왔는데

                           대게를  먹어야지   하면서  대게음식점으로  들어 갔다.

 

 

 

 

 

 

 

 

 

 

 

 

 

 

                            대게를  쩌 내는  솥,   지금은  불이 꺼져있다.   조금  일찍  왔드라면

                            저 솥에서 하루 종일  김이 올랐을텐데....

                            수족관에  있어서  맛이 덜하거나  말거나  일단  게를  먹기로   작정했다.

 

 

 

                            영덕대게는  클 대(大)  자의  대게가  아니고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겨서  대게라고  한다

 

 

 

 

                         영덕대게 중에서도  박달대게가  최상품이며   집게발이  살이 차야먄

                     맛이 좋다고  한다.

                     임금님  상에까지  올랐다는  진상품  영덕대게지만   이건  그냥  수족관에

                     갇혀 있던 것이다.

 

 

 

 

                          한 마리에  20,000 원,   세마리를  쩌달라고 했다.

 

 

 

                          대게 3마리를  샀드니  반찬은  그냥  나오고   밥만  한 공기에  1,000 원씩

                          달라고  했다.

 

 

 

                         대게가  제 철 보다는  맛이  많이  덜했다.   수족관에  들어가지  않은

                         살아서 뛰는걸  먹어야 하는데  철이  지났다  보니  살도 빠지고  맛이  별로다.

                     

                         우리들  어린시절,  전쟁전에  영덕에  살았을 적에는   저 대게를  삶아서

                         짚으로  묶어서  길거리에서도  팔았는데  이제는  비싸기도  하고  귀한  식품이

                         되어서  그런  풍경은  구경을  할수가  없다.

                         대게가  아주 쌀때는   삶아서  살만 꺼내서  말려 두었다가   겨울철에  미역국을

                         끓여 먹었을 정도로 흔했던  영덕대게도  이제는  귀한  상품이 되어서   마음놓고

                         먹어보기  힘드는  비싼 음식이 되어 버렸다.

 

                         우리 언니,   게이트 볼  1급 심판 자격증도  갖고  있어서   활발하게  운동도

                         하고   나와 달리  얼굴도  예뻤고   노래도  잘불렀던  우리 언니,  언니는 어쩌다가

                         이렇게 변해 버렸는지....  그렇게  그리워 하던  영덕땅에  왔는데도  아무런 관심도

                         없고,   바다 한번  제대로  바라보지  않는다.

                         그저  얼른   자고  내일  읍내로  들어 가  사람들만  찾아보자고  성화다.

                         과연 60년전의  기억속의  그 사람들이  아직도  영덕에  살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