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강산

최명희 문학관, 전주여행(2)

데레사^^ 2015. 9. 16. 10:19

 

 

최명희 문학관, 전주여행 (2)    2010/08/11 04:25

 

http://blog.chosun.com/ohokja1940/4894013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전주사람들의  가슴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최명희,  1947년  전주에서  태어나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소설  혼불 로  제11회  단재상을  수상하였고

    전북대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던  최명희,   만 17년간  오로지  혼불  하나에

    투혼하였던  최명희,  내가  좋아하는  작가  최명희를   전주  한옥마을에서   그의

    기념관을  방문하는것으로  생전의  모습을   회상 해 본다.

 

    그다지  쾌청한  날씨는  아니었다.

    거기다가  대숲에서는  제법  바람 소리까지 일었다.

    하기야  대숲에서  바람소리가  일고  있는 것이 굳이  날씨  때문이랄 수는  없었다.

    청명하고  볕발이  고른  날에도  대숲에서는  늘  그렇게  소소한  바람이  술렁이었다.

    그것은  사르락  사르락  댓잎을  갈며  들릴 듯  말 듯  사운거리다가도  솨아 한쪽으로

    몰리면서  물 소리를  내기도  하고,   잔잔해졌는가 하면  푸른 잎의  날을  세워

    우우우  누구를  부르는것  같기도 하였다. 

 

    소설  혼불 은  이렇게  대숲을  묘사하는것으로  부터  시작한다.  이  찬란하도록  아름다운

    소설은  이렇게  섬세한  문장과   고운  우리말로 쓰여져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애절함과  그리움을  느끼게  한다.

 

 

 

 

    전주를  오면서,   최명희 문학관이  이 한옥마을  한복판에  있을줄은  생각도  못했다.

    한옥마을의  골목을  들어서자  마자  최명희 길  을   만나고  그  길에서  최명희

    문학관을  만났으니  흥분할 수 밖에.....

 

 

 

     고즈넉하고  조용한  한옥마을의  골목길들이다.  한옥마을에  들려서  어디를  어떻게

     구경하겠다고  계획을  세우고  온게  아니기  때문에  그냥  발길  닿는대로  돌아다니고

     있다.

 

   

 

 

    오전 11시와  오후2시, 4시에   경기전 하마비 앞에서  1시간 가량의  한옥마을 투어가

    시작되며    무료로  문화해설까지  다  해준다는데  우리는  그냥   우산을  쓰고  제멋대로

    돌아 다닌다.

    "글도  알고  말도 아는  내나라인데   그냥  다녀보자"  고 하면서.

 

 

 

 

      비는  줄기차게  내리고  있다.   비에 젖은  기와지붕,   그리고   바닥이  아름다운

      골목길이  더욱  정겨워 진다.  무엇보다   우산을  쓰는게  좀  귀찮긴  해도

      덥지 않아서  좋다.

 

 

     

 

 

    이곳은  한옥마을에서는  중심이 되는  거리다.  옆으로  인공으로  도랑을  만들어서

    물이 흘러가게 하고  있다.

 

 

 

 

     드디어  만난  최명희문학관,   그런데  이곳은  뒷문이다.

     우리는  뒷문으로  들어갔다.

 

 

 

 

     최명희의  여러 모습이  우리를  반기는듯.....  이미  돌아가신지  여러해 되었지만

     그는  이렇게  전주인의 가슴속에,   아니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살아 있다.

 

 

 

 

 

 

 

 

    여기가  앞 문이다.

 

 

 

 

     

 

 

 

 

 

 

 

 

 

 

 

 

      작가  최명희는  글도  잘 썼지만  글씨도  참  예쁘게  쓰신것  같다.

     

 

 

 

 

 

 

 

 

 

 

 

 

    생전에 사용했던   도구들이다.   저 만년필로  주옥같은  글을  쓰셨을테지....

 

 

 

 

 

 

 

      최명희 문학관 안에서  바깥을  내다 본 풍경이다.  비록  넓다고 할수는  없는 곳이지만

      기와가  올려진  토담이   운치있어  좋다.

 

 

 

 

 

 

 

 

        최명희길의   풍경들이다.

 

 

 

 

 

      최명희는  1947년  10 월 10일에  이곳  전주에서  태어나서  1998 년 12 월 11일에

      세상을  떴다. 50년  정도의 짧은  삶을  살고  간게  너무나  아쉬운 분이다.

      1980년   쓰러지는 빛  으로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1997년  제 16회  세종문화상과  1998년  호암예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품으로는  단편소설  몌별  만종   정옥이  주소  등이  있다.

 

      최명희의  소설을  대하면  어느 벌족한  가문의 종가댁  잔치마당에  들어선것 같은

      설레는 기대감과  아련한  흥분을  느끼게 된다.  나는 곧 거기서   울을  넘는  음식냄새와

      시끌벌적한  사람소리,  이어  뜨락을  매운  질펀한  흥취와  안방  여인네들의 정겨운

      어우러짐,  그리고  사랑채  어른들의  경세담들을  모두  한마당에서  만난다 로

      소설가  이청준  은   그를  평했다.

 

      작가  최명희,   그는  갔지만   그의 혼불은  우리들  가슴속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