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강산

최고의 목조건축을 자랑하는 수덕사

데레사^^ 2015. 9. 10. 20:56

 

 

최고의 목조건축을 자랑하는 수덕사    2010/04/10 00:45

 

http://blog.chosun.com/ohokja1940/463569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 (554- 597) 재위시  창건되었으며   현존하는  유일의 백제 사찰이다.

  그리고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 (1308년) 에  건립된것으로  현재까지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고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이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쓴  유홍준은  말하기를

  "수덕사가  아무리  망가졌어도  대웅전 건물이 건재하는 한  나는 수덕사를  무한대로

  사랑한다.  이 대웅전  하나만을  보기 위하여 수덕사를  열번  찾아 온다해도  그 수고로움이

  아깝지 않다"  고.

 

 

 

   우리집에서는  서해안 고속도로  타기가  아주  편하다.

   아침 7시에  출발했드니  9시도 되기전에  수덕사 주차장에  도착했다.   아직은  쌀쌀한

   아침 날씨지만   절  경내로  들어서자   시원하고  맑은  공기가  추위따위는  생각할

   겨를도  없이  마음을  상쾌하게  만들어 준다.

 

 

 

   들어서자  마자   부도밭이  보인다.  그런데  이 부도밭은  별로  오래된것  같지가 않다.

 

 

 

 

    일주문을  지나면  둥근 원을  그리면서  돌아가던  그 넓고  한적한  길은  없어지고

    마치 중국 무술영화에서나  볼수  있는 돌계단이  무지막지하게  이어져  있다고

    개탄을  한  유홍준의  말을  떠 올리며  참  운치없다라는  생각을  해 본다.

 

 

 

 

   돌 계단이  참  길긴  길다.   다리가  아프다.

 

 

 

 

 

 

   국보 49호로  지정된  대웅전이다.

   창건연대가  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한국  목조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건물이다.

  

 

 

 

 

 

 

 

 

 

   대웅전은  구조와 외형이  아주  단순하다.

   단순성이  보여주는  간결한  아름다움이다.

 

 

 

    대웅전의 측면,   둥근 기둥과  각이 진  들보를  노출시켜  모양새를  더욱

    아름답게  보여 준다.

 

 

 

 

 

 

 

 

 

 

 

 

 

 

 

    이 각도에서  보고  저 각도에서  보고....

    여러 각도에서  쳐다 봐도   어느곳에서나  아름답기  그지 없다.

    건축학적으로  설명할 수도  없고  그런  측면으로는  볼줄도  모르지만

    눈에  보이는대로,   마음으로  느끼는대로  그저  아름답다라는  탄성만  되풀이 해본다.

 

 

 

 

 

 

 

 

    이 사진은  대웅전 앞에 서서  아래쪽을  바라 본  정경이다.

 

 

 

    배흘림기둥은  부석사  무량수전에만  있는게  아니네...

 

 

 

   마름모꼴의 사방연속 무늬지만  이 창살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애를  썼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비구니 승방  견성암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견성암 건물은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냥  구경만  하고  사진은  찍지 않고

    내려 와 버렸다.

 

 

 

    견성암쪽에서  바라 본  수덕사  대웅전 쪽  풍경,   산속의  절집이 고즈넉하게

    보인다.

 

 

 

    비구니들이 기거하며   수도하는  암자로  일엽스님이  열반한 곳으로  유명하다.

 

 

      일엽스님은  1896년 생으로  본명은  김원주.

      목사의 딸로  태어 나  조실부모한 후  23세에  이화여전을  졸업하고  일본에 건너 가

      동경  영화학교에   다니다  귀국하여  잡지  신여자를  창간하고    시인으로서

      신문화운동   신여성 운동을  하면서  숱한  화제를 뿌린  신여성이다.

      화가 나혜석 만큼이나  소문난  여자였다.

 

      "청춘을 불사르고"  란  저서를  젊은시절에  읽긴  했었는데  지금  내용은  전혀

      기억에  없고 

      38 세의   신여성이  만공스님을  만나   머리를  깎았다고  한다.

     

      이 환희대는  1971년   76세로  열반하기 까지  일엽스님이  거처하다   열반에 든

      곳이다.

 

 

 

     

      수덕사에는   만공스님,  경허스님 같은  훌륭한  스님들이  계셨던  곳이지만

      나는  수덕사를  찾을 때  마다   일엽스님을  떠올리며  그분의  극에서  극으로 달린

      생애를  생각 해 본다.

      인생의  한창  시절의 그분이  쓴 시 한편

 

             그대  웃어 주소서

            

             으셔져라  꺼안기던  그대의 몸

             숨가쁘게  느껴지던  그대의 입술

             이 영역은  이 좁은  내 가슴이

             아니었나요?

             그런데  그런데

             나도  모르게

             그 고운 모습들을  싸안은 세월이

             뒷담을  넘는 것을  창공은  보았다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