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 중국

원주민과 함께 춤을.... 대만여행(3)

데레사^^ 2015. 8. 8. 20:40

 

 

원주민과 함께 춤을.... 대만여행(3)    2012/01/13 02:52

 

http://blog.chosun.com/ohokja1940/613375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대만에 도착한지  이틀째,   오늘도  여전히  비가  내린다.  지난 밤에  천지신명께

                   빌었는데도  도무지  효험이  없다고  일행들이  웃음반으로  투덜거린다.

                   오늘은   자강호라는  열차를  타고  대만 동부의 중심도시  화련으로  가는 날이다.

                   화련은   원주민과  한족의 문화가  만나는  도시로  뒤쪽으로는  동부산맥이 있고

                   앞으로는  태평양이  바라 보이는   절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가이드의 설명에 의하면  대만에는  14종족의 원주민이  현재  남아 있으며

                   화련의  아미족은  대륙에서  이주해 온  고산족으로  인구의 2% 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아침  5시30분에  모닝콜,  6시 30분부터  식사,  그리고 8시에  출발인   바쁜

                    일정이다.

                    이 호텔의  아침식사는  이렇게  부페식으로  차려져  있다.

 

 

 

 

                     대강  주섬주섬  한 접시를   담아와서   아침으로  먹었다.  원래 꽃빵을

                     좋아해서  여기서도  꽃빵부터  먼저  집어 왔다.   저 꽃빵 속에  잡채를  넣어서

                     먹는걸   나는   좋아한다.

 

 

 

 

                     타이페이 기차역이다.  화련까지는 3시간 30분이 걸린다.

                     대만의  지형상  동쪽은  산맥이  많고  바위산이라  터널을  뚫을수가  없어서

                     고속철은  공사가  안된다고  한다.   그래서   타이페이에서  화련까지  가는

                     기차는   완행열차다.

 

 

 

 

                       한문으로  月台 라고  써놓은것이  플랫홈이라는  뜻이다.   중국어로  뭐라고

                       읽는지는  모르지만   이 곳  대만에서의  한문은  약자를  쓰지  않아서  그나마

                       조금은  이해가  된다.   본토에서는   약자가  많아서  같은  한문 문화권이면서

                       무슨뜻인지  도무지 이해가  안되었는데  대만은  그렇지  않아서  좋다.

 

 

 

 

                     이 곳에서  기차를  타보니  옛날식으로  아직까지  개찰도   하고   또  중간에

                     기차안에서  검표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없어진지 오래인것을

                     이곳에서  보니  새삼  향수같은  감정이  일어난다.

 

                     기차표는   나란히  앉는  좌석번호가  짝수는 짝수끼리  홀수는  홀수끼리라  약간

                     생소했다.

 

 

 

                        플랫홈이   시골스럽긴  하지만  깨끗하다.

 

 

 

 

                      달리는  기차안에서  창문을  통하여  바라보는   대만,   이곳에도  아파트가

                      많다.

 

 

 

 

 

 

 

 

 

                    기온은  겨울인  요즘이 15도 내외,  여행하기에  딱  알맞은  날씨다.

                    밭에는  농작물이  자라고  있고   보이는  마을은  평화롭다.

 

 

 

 

 

 

 

 

 

                      화련 역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던   버스,  운전을  얼마나  안전하게 하는지

                      한번도  급브레이크도  밟지 않고  경적도  울리지  않는다.

                      중국 본토를  여행하면서  느꼈던  불안같은건  느낄수  없을 정도로  질서 바른

                      운전이다.

 

 

 

 

                       원주민인  아미족의  공연장이다.   처음에는  모두가  보는  입장이었는데

                       나중에는  한사람씩   무대로  뛰어 올라가서  누가  손님인지  누가  공연하는

                       사람인지  모를 지경으로  한덩어리가  되어 버렸다.

 

 

 

 

                      다른 공연장과는   달리  사진도  마음대로  찍게하고   마음대로  무대위로도

                      올라오게  하고....  편안한  축제 한마당  같다.

 

 

 

 

                        처음에는  이렇게  자기네들 끼리의  민속춤 공연이 었는데...

 

 

 

 

                       중국풍이라기  보다  동남아풍 같았다.   캄보디아를  여행할때  보았던

                       민속춤과도  흡사하다.

 

 

 

 

 

 

 

 

 

 

 

 

 

 

                      공연하는 사람들이  무대에서  내려와  우리도  같이  올라오라고  권하는 장면이다.

 

 

 

 

 

 

 

 

 

 

 

 

 

                       축제 같았던  원주민의  춤,   재미있고  신났다.

 

 

 

 

                     화련은  태로각이라는  아름다운  협곡과  원주민의  춤을  보기 위하여  기차를

                     타고  오는 곳이다.

                     우리도   협곡구경을  한 후  원주민 춤 공연을  보고  밤늦게   타이페이로  돌아왔다.

 

                     이 사진은  태로각  협곡안에 단  하나밖에  없는  매점이다. 원주민이  경영하는

                     매점으로  유일하게  허가를  내 준 곳이라고 한다.

 

 

 

 

                                불루베리와  장미를  섞은  꽃차를  한잔   마셨다.

                                우리돈으로  환산하면  6,300 원  정도다.   향이  짙고 따뜻해서 좋았다.

 

 

 

 

                       이 곳  손님역시  대부분이  한국사람들이다.    요즘은  세계 어딜  가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세다.

 

 

 

 

                   90도의 직각으로 뻗은  산이  기가 막히게  아름다운  협곡이다. (협곡은   다음

                   포스트에 소개할것이다)

 

 

 

                     팔고 있는  물건들이 모두 알록달록   원주민들이  만든것인데  가격이  만만하지는

                     않다.   그래서  아무것도  사지는  않고...

 

 

 

                              위의 사진의 할머니는 (아니 할아버지인가?)  이곳에  오래 살았던

                              원주민으로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유명했던  분이라고  한다.

                              아미족 원주민들은  성인식을  할때  몸에  문신을  한다고 하며  문신의

                              숫자가  많을 수록   높은 사람이라고 한다.

 

                       화련의  원주민은  기독교나  천주교 신자가  많아서  이곳  산지에서는

                       십자가가  많이 보인다. 

 

                       대만의  거리에는  선거포스터가  많이  붙어 있다.  총통을  뽑는  선거라고

                       하며  임기 4년의 직선제로  1회의 재선이 가능하다고  한다.

                       미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모두가  선거열풍이  불고  있는  거리를

                       보며   정치를  떠나서는  살 수도  없는데  정치인들이 좀 더 원숙한  페어 플레이를

                       해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