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에 남아 있는 청나라때의 왕족의 가옥중 가장 크고 보존이 잘되어 있다는 집
공왕부(恭王府)는 한 겨울에도 찾는 사람이 많았다.
이 집은 원래는 청대의 최고의 탐관오리였던 화신의 집이었으나 후에 공친왕에게
하사되었다고 하며 자금성의 미니처어 버전이라고도 할수 있을 정도로 문을 들어서면
또 문이 있고, 당시 최고권력자의 호사스러운 집 답게 크고 화려해서 다 돌아 보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입장료는 30위안이었는데 노인반액이라고 쓰여 있어서 여권을 갖고 오지 않아서
무얼로 증명할까 하다가 용기를 내서 얼굴을 보여 주었드니 쉽게 반액으로 해
주었다. 얼굴이 신분증이다.


중국어를 알았으면 단체관광객들 틈에 끼어 들어서 설명을 들었으면 좋을걸....

이 집을 지었다는 화신이라는 탐관오리는
그가 죽을때의 재산이 당시 국가의 10년 재정수입보다 많았다고 하니 얼마나
화려한 생활을 했을까 하는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청 건륭제때 궁을 모방해서 집을 지을 정도의 세력을 가졌으나 1799 년
과소비와 향락죄로 사형에 처해졌다고 하니 부귀도 영화도 다 뜬구름이라는
생각이 든다.


집 안에는 전시실이 몇군데나 있고 경극의 공연장소도 있었다.

전시된 청대의 인물들인데 이 집에 살았던 사람들일까?

당시의 복장이다. 아주 화려하다.

조선시대의 우리 선비들의 흉배와 거의 같이 보인다.

당시의 시계도 이렇게 화려하다.



다복헌(多福軒) 이라는 곳의 내부였는데 아주 호사스럽다.

홍루몽의 저자 조설근이 이 곳에서 낮잠을 자다가 영감을 얻어 집필했다는 곳인데
화분에 가려서 전각이 잘 보이질 않는다.

18세기 중반, 청 건륭제때에 쓰여졌다는 홍루몽은 19세기 이전의 소설중 중국최고의
걸작이라고 하는데 그 소설이 이곳에서 쓰여졌다니....
내부에는 홍루몽에 관계된것들이 많이 전시되고 있었지만 사진을 찍을수가 없었다.

홍루몽은 120회의 긴 장편으로 조설근이 80회까지 쓰고는 타계했기 때문에
후에 다른 사람이 40회를 덧붙여 완성했다고 하는 길고 긴 소설.
다시 한번 읽어 봐야 겠다.


이처럼 길고 긴 복도를 지나서 다음 건물로 가기도 하고 정말 넓고 크다.


후원쪽으로 나가니 이 곳에도 복을 비는 곳이 마련되어 있었다.
향을 피우고 절을 하고 붉은 소원지를 달고....

아마도 돈을 주고 사서 다는 모양같았다.

참 많이도 달려 있다. 저 속에 담긴 소원들이 다 이루어 지길....

나무 한그루 없는 자금성과는 달리 이곳 후원은 나무도 많고 인공의 못도
있고 넓고 화려하다.

당시의 공친왕은 이 집을 하사 받아 화원을 개축하면서 100 여명의 장인들을
동원하여 중국 강남의 원림예술과 북방의 건축형식을 결합하여 이 정원을 만들었다고
한다.



겨울이 아니었으면 숲이 아주 울창했을것 같다.


이 바위사이로 난 굴같은 길 안으로 들어갔드니 福이라고 쓰여진 바위가 있었다.
사람들이 그 앞에서 절하고 만지고 하느라고 그야말로 난리도 아니었다.


이건 후원 어느 정자바닥에 새겨진 목숨 수(壽) 자의 중국식 간자가 새겨져
있는곳이 었는데 이곳에서도 사람들이 글씨 위를 많이 걸어다니고 있었다. 사진을
잘못 찍어서인지 글씨가 제대로 안 나왔네...
부귀도 영화도 구름인듯 간곳 없고
지금은 많은 사람들의 볼거리로만 남아 있는 공왕부를 돌아 나오면서
사람은 주어진 분복대로 살아야만 되는거라는 생각을 해 본다.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라는 말의 의미, 최고의 권력을 누렸지만 결국은 그것때문에
사형을 당하고 만, 이 집을 지었던 화신이라는 사람.....
북경의 한 겨울은 정말 추웠다. 그러나 시내 한복판에 있는 이곳 공왕부에는
사람들로 가득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