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

"생명의 숲 함양상림"을 읽고

데레사^^ 2023. 5. 29. 06:48

                     최치원 선생의 공덕이 살아 숨 쉬는  생명의 숲  함양상림은  2001년
                     제2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천년의 숲으로  선정되고
                      2018년  다시  제18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숲지기 상을
                     수상한  자연과 문화를  아우르는  귀중한  복합 문화유산이자  자연생태 박물관이다.
             
                     함양상림은 이러한 가치를  인정바다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이 책은 이 아름다운 함양상림을  만 서른에  야생화에 빠져  산청 지리산 자락에  들어 가
                       12년간  농장을  운영하고 1년 동안 전국  101곳에 소나무 문화를  읽으러  다녔던  "최재길"
                       산림치유 지도사가  함양상림에 빠져  관찰과 연구 끝에  낸 놓은 책이다. 
 

                        목차가 보여주듯  함양상림의 역사와 문화, 생태계,  그리고  함양상림의 생물목록까지
                        세세한  설명이 쓰여 있다.
 
                        288 페이지의  두꺼운 책,  수문출판사에서  펴냈으며  22,000 원이다.
 

                         자칫 지루할 것 같기도 하지만  책은 사진을  곁들여서  편안하게 읽으며  천년의 숲
                         함양상림에  빠져들게  만든다.
 

                                       혹시라도  함양상림을  가게 되면  참고하시라고 지도도  붙여져  있다.
 
                        나는  한 5년 전에  진주의 친척 결혼식에  가는 길에  이 함양상림에  들른 적이  있다.
                        추석 무렵이었는데  그때는  숲 속에 꽃무릇이  잔뜩  피어 있었다.
                         미리  이런 지도를 보고 갔으면  구석구석  돌아보았을 텐데  꽃무릇에  반해서  꽃무릇  핀 길만
                         걷다가  돌아 왔다.
                         수박 겉핥기같이  잠깐 돌고 나왔지만  울창하던 숲,  꽃무릇 핀 길을 따라  걷기 운동을  하고
                          있던 사람들,  그리고 맑은  공기들이  내 머릿속에  남아 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다시 한번
                          함양상림을  찾아가 봐야겠다는 생각이  간절 해 진다.
 

                       책의 뒷 표지는 함양상림에 대해서 간단하고 짧게  소개하고 있다.
 
                       함양상림은  지리산을 끼고 1,000 미터가 넘는 산들이 즐비한 경상남도  함양 도심에  있어
                       접근성도  좋고  숲길도 평탄하여 걷기에 아주 좋다.
                       해발고도 170-180에   하천을 따라  1,6킬로나  늘어서 있다.
                       폭은 30-200 미터로  남북으로 긴 띠 모양이며  숲의 규모란 103,532평방미터,  약 3만 4천 평이다.
                       규모로 보나  조성시기로 보나 가히 전국에서  으뜸이다.
 

                       숲에는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나도밤나무를  비롯,  온갖  야생화와  새,  버섯들이  있고
                       역사가  있고 문화가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책장을  덮으며  아생의 여행자, 자연환경해설사,  산림치유 지도사 1급을 지닌
                       저자  최재길 선생님께 우리국토 사랑 하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인사를  이 리뷰로  대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