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삶, 모습

산소를 다녀 오다

데레사^^ 2023. 5. 25. 19:47

              남편이 간 지도  어언 35년이 지났다.  석가탄신 다음 날이  제사이기 때문에

              오늘  마침  아이들도  시간이 되고 해서  산소를  찾아갔다.

              그간  이곳도 많이  바뀌었다.   공원묘지에서  메모리얼 파크로  이름도  바뀌고

              입구 쪽은  납골당이  들어서고   산 위쪽의  오래된  묘지 부근은  관리가  잘 안 되어

              황폐화되어 가고  있다.  우리  산소도  내가  작년에  입원하기 직전에  관리사무소에

              돈을 내고  잔디를  보충해 달라고 했는데  당시의  사진을  보내올 때는  잔디가

              촘촘했는데  오늘은  키 큰  풀들이  자라서  손 안 보고  방치해 둔 것  같이  보여

              마음도  아프고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35년 전,  그때는  매장이  대세였다.

               나도  죽으면  같이  묻힐 거라고  합장용으로  샀다.  

               6평,  얼핏  작은 것  같지만  공원묘지의  6평은  큰  편이다.

                 

                그런데  지난 해  내가  잔디 보충 해 달라고  관리실에  들렸을 때  물어보니  이미  30년이

                지나서  내가  죽어도  합장은  안된다고 했다.

                그래서  납골당으로 모시는 것에 대해서  물었더니  우리 산소는  파묘를  하면  그대로  자기들 에게

                공짜로  반납이 되고  꼭  아이들 학교의  신발장  크기만 한  납골당은  할인 없이  그대로  돈을  다

                치루어야 된다고  했다.  얼마냐고  물으니까  제일 싼 곳이  1,000 만원 정도라고  해서  급한 것  아니니

                생각 해 보고  연락하겠노라  해놓고  내가  아파 버렸다.

 

 

               그 동안  많은 생각을  했다.   친한 사람들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한결같은  대답들이  이제는  죽어서  묘지에  묻힌  사람이나  살아 있어서  죽어야 할  우리들이나

               다  화장해서  깨끗이  자연 속으로  뿌려  없어져야 한다는것이다.

               이곳  공원묘지에도  오래된  묘지 비석에는  늘  노란 딱지가  붙어있다.   관리비를  안 내서

               관리실  들려 가라는. 딱지다.

                   

               돈이  아까워서  안 내는 사람들이야  없겠지  하면서도  그걸  볼 때마다  마음이 유쾌하지는 않다.

               그러면서  우리 집  경우를  생각해 보면  나의 세 아이들이  다 죽고 난 후  과연  손자들이기  관리비를

               내러  산소에  찾아올까?   한국에는  손녀 혼자뿐인데.

 

               마침  우리 안양시에는  함백산에  시민을  위한  화장장과 납골당이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우선  함백산 관리실에 가서 그곳  사정을  알아보고  이곳을  파묘하면  그곳에서  납골당이든

               수목장이든  뿌리는 것이든  가능한가를  알아봐야겠다.

               나야 물론  안양시민이니까  가능하지만  35년 전에  서울시민이었을 때  돌아가신  남편도  가능한지

               알아봐야 한다.

 

               물론  아이들과의  합의가  먼저다.

               그리고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내가  살아 있을때  남편의  산소도  정리를  하고 가야 겠다는

               다짐 아닌 다짐을  해 본다.